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40일째 단식농성 중 건강 악화로 병원에 이송된 세월호 사건 희생자 김유민 학생의 아빠 김영오씨가 22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시립동부병원 병실에 누워 있다.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단식 40일째 ‘유민 아빠’ 병원행
유족 등 100여명 한밤까지 연좌농성
“대통령은 귀 열고 이야기 들어달라”
청와대에 서한 전달한뒤 답변 요구
유족 등 100여명 한밤까지 연좌농성
“대통령은 귀 열고 이야기 들어달라”
청와대에 서한 전달한뒤 답변 요구
단식 40일째를 맞은 ‘유민이 아빠’ 김영오(47)씨가 병원으로 실려간 22일, 청와대 근처에선 박근혜 대통령에게 세월호 특별법 제정 결단을 촉구하는 각계의 기자회견이 이어졌다.
세월호 유가족 수십명과 시민사회단체 회원 등 100여명은 이날 저녁 서울 청운동주민센터 앞에 모여 박 대통령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을 발표했다. 이들은 “박근혜 대통령만이 유민이 아빠를 살릴 수 있다. 대통령은 귀를 열고 우리 가족이 원하는 특별법이 어떤 것인지 들어 달라. 더 이상 침묵으로 우리를 죽이지 말라”는 내용의 서한을 청와대에 전달하고, 박 대통령의 답변을 요구하며 밤늦게까지 연좌농성을 벌였다. 단원고 학생 박혜선양의 어머니 임선미씨는 “아이들의 억울함을 풀어줘야 한다. 대통령은 꼭 대답해 달라”고 호소했다.
앞서 세월호 참사 국민대책회의와 광화문 국민단식 참여 각계 원로 및 대표단도 같은 장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단식 40일째 건강이 악화된 유민이 아버지를 두고 대통령에게 구구절절 말할 시간조차 없다. 지난 5월16일 유가족과의 면담에서 ‘진상규명에 유족 여러분의 여한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힌 박 대통령은 약속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 소장과 김영호 전국농민회총연맹 의장,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의 유초하 교수 등 원로 대표단과 대책위 관계자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청와대에 서한을 전달하려 했지만, 경찰에 가로막혀 발길을 돌리기도 했다.
한국청년연합, 한국청년연대, 청년유니온 등 청년단체들은 “이제 여야 정당에 기대할 것이 없다. 유가족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무늬만 특별법’ 논의를 반복하는 정당들은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할 수 없다. 이제 박 대통령이 답하고 책임져라”고 요구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