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비상
마스크 등 쓰고 임종 지켜야
주검은 염습 못하고 밀봉 입관
격리당해 화장 뒤에야 장례식
마스크 등 쓰고 임종 지켜야
주검은 염습 못하고 밀봉 입관
격리당해 화장 뒤에야 장례식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으로 20명이 숨진 가운데 일부 유가족들은 격리된 채 마지막 인사조차 제대로 나누지 못하고 가족을 떠나보내야 하는 처지에 놓여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17일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대책본부)의 설명을 들어보면, 정부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감염병으로 숨진 이의 주검을 관리해야 한다. 동시에 갑작스런 이별로 황망해할 유가족들의 마음을 살피는 것도 보건당국의 몫이다. 대책본부는 “환자의 임종 준비부터 사망자 시신 처리, 장례까지 모든 절차를 유족과 협의해 지원한다”고 밝혔다.
메르스 환자의 상태가 불안정해질 때 병원은 즉시 가족한테 알리고 임종을 직접 참관해 확인할 것인지 묻는다. 가족이 원하면 마스크·보호복 등 개인보호장구를 입고 병실에서 환자의 임종을 지킬 수 있다. 갑작스레 숨진 경우 사망 뒤에라도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시신을 확인하고 의료진의 설명을 들을 수 있다.
김주영 대책본부 긴급지원팀장은 “유가족들이 원하는 경우 모두 메르스 확진자의 임종을 지켜봤다. 직접 눈으로 보고 의료진의 설명을 들으면 유가족들도 환자의 사망 경위 등을 잘 이해하게 된다”고 말했다. 가족들도 격리돼 있는 경우 임종조차 지키지 못한 이들도 있다. 대책본부는 “개별 병원이 (잘 몰라) 그렇게 응대한 경우도 있지만 격리자도 보호장구를 입으면 가족의 임종을 지켜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임종 뒤에도 가족은 마지막 예를 다하기 어렵다. 감염병으로 숨진 이의 주검은 염습을 하지 못하고 그대로 ‘방수용 가방’에 들어간다. 오염을 막기 위해 이중 밀봉한 뒤 그대로 입관한다. 법적으로 매장이 금지된 것은 아니지만 주변인의 감염을 막기 위한 조처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장례를 관리하는 보건 담당자는 유족들에게 화장을 권하고 있다.
일반적인 장례는 장례식, 화장, 봉안의 순서로 진행되지만, 메르스 환자는 가족들도 격리 조처를 당해 ‘이산가족’이 된 경우가 많아 유족과 협의해 먼저 화장을 진행한 뒤에 격리가 끝나면 가족이 모여 장례식을 치르고 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