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부와는 별개로
10만여명이 10억원 모아
10만여명이 10억원 모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회복 등을 위해 시민 10만여명이 참여해 만든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재단’(정의기억재단)이 9일 공식 출범했다.
정의기억재단은 이날 서울 마포구 카톨릭청년회관에서 설립 총회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이뤄내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에 기여하고, 역사 교육과 추모 사업들을 통해 미래세대가 이 문제를 올바르게 기억하도록 하기 위한 시민참여 사업을 진행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한·일 정부의 12·28 합의에 따라 정부는 지난달 31일 일본 정부의 출연금 10억엔을 바탕으로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화해와 치유의 재단’을 발족시킨 바 있다. 하지만 시민사회단체 등은 “화해와 치유라는 명목의 ‘지원금’으로 아픈 역사를 종결시키는 것은 할머니들의 뜻을 바르게 이어가는 길이 아니”라며 정의기억재단 설립을 추진해왔다. 지난해 말부터 10만명이 넘는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10억3523만원의 재단 후원금과 약정금이 모였다.
재단 초대 이사장은 지은희 전 여성가족부 장관이 맡았으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길원옥·안점순·이옥선·강일출·김군자 할머니 등이 고문으로 이름을 올렸다.
정의기억재단은 앞으로 △일본군 성노예자 피해자 복지와 지원 사업 △일본군 성노예자 문제에 대한 진상규명·기록보존·연구 사업 △교육·출판 사업 △국내외 홍보·모금 사업 △평화의 소녀상 건립과 추모사업 △전시 성폭력 피해 여성, 아동 지원 사업 △장학사업 등을 진행하게 된다.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
길원옥 할머니 "배가 고파 밥을 달라고 한 것이 아니다"
길원옥 할머니 "배가 고파 밥을 달라고 한 것이 아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