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유레카] 유라시아 ‘철의 실크로드’ 시대/이창곤

등록 2019-08-18 17:59수정 2019-08-18 20:38

실크로드, 즉 비단길은 독일의 한 지리학자가 고대 중국과 그리스·로마 문화권 사이의 교역이 주로 비단을 통해 이뤄졌다는 데 착안해 명명했다. 김호동 서울대 교수(동양사)는 이 용어는 ‘비단길들’로 복수형으로 써야 더 역사적 사실에 들어맞는다고 말한다. 유라시아 대륙이 초원 지역을 동서로 관통하는 ‘초원 루트’, 오아시스 도시를 경유하는 ‘사막 루트’, 남중국해와 인도양을 통과하는 ‘해양 루트’ 등 적어도 세 루트 이상이 실재했기 때문이다.

고대 국제상인의 동서 교역로를 대신해 오늘날엔 ‘철의 실크로드’가 뚫려 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모스크바까지 9288㎞의 시베리아횡단철도(TSR)가 대표적인 노선인데, 러시아의 12개 주 87곳의 크고 작은 도시를 거쳐 종착지까지 일주일이 걸린다. 중국 베이징에서 몽골의 울란바토르를 거쳐 러시아의 울란우데에서 시베리아횡단철도와 연결되는 2215㎞의 몽골종단철도(TMGR)는 가장 인기 있는 루트다. 지난 10일, 울란바토르에서 울란우데를 거쳐 이르쿠츠크까지의 23시간 노정을 이 철길을 이용했다. 드넓은 초원, 끝없는 자작나무 행렬, 그리고 바이칼 호수의 청록색 물결은 이방인을 황홀케 하기에 충분했다.

이 밖에 베이징에서 하얼빈을 거쳐 러시아의 치타 부근 카림스카야역에서 시베리아횡단철도를 잇는 만주횡단철도(TMR)와, 중국 남쪽 롄윈강에서 카자흐스탄을 거쳐 모스크바와 베를린을 지나 로테르담으로 이어지는 중국횡단철도(TCR)도 있다.

지난 15일 문재인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에서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를 만들기 위한 방편 중 하나로 ‘동북아시아 철도공동체’를 언급했다. 남북한과 러시아 등 동북아 6개국이 참여하는 이 구상을 통해 동북아 다자협력과 다자안보, 그리고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초석을 놓겠다는 의지를 지난해에 이어 재차 밝힌 것이다.

하지만 이 구상을 현실화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남북 철길을 잇는 한반도종단철도(TKR)가 개통돼 대륙철도들과 연결돼야 한다. 이리되면 서울 또는 부산, 목포에서 출발해 신의주나 원산을 거쳐 파리까지 대략 12일 안에 갈 수 있다. ‘너무 늦기 전에’ 남북을 비롯한 유라시아의 공존과 평화와 번영을 가져올 21세기 ‘유라시아 철의 실크로드 시대’가 열리길 앙망한다.

이창곤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go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윤 정부, 체코에 ‘원전 대출’ 카드 내밀었지만… 1.

윤 정부, 체코에 ‘원전 대출’ 카드 내밀었지만…

영국 잡지가 꼽은 “서울의 브루클린”…‘세계 가장 멋진 동네’ 4위 어디? 2.

영국 잡지가 꼽은 “서울의 브루클린”…‘세계 가장 멋진 동네’ 4위 어디?

[단독] ‘국민연금’ 정부안대로면 40년 넘게 0.31%씩만 오른다 3.

[단독] ‘국민연금’ 정부안대로면 40년 넘게 0.31%씩만 오른다

‘수업 방해’ 학생, 법으로 분리?…“교사 ‘독박 교실’ 지원 먼저” 4.

‘수업 방해’ 학생, 법으로 분리?…“교사 ‘독박 교실’ 지원 먼저”

‘빅5’ 안과 전문의, 마약 하고 환자 7명 수술 진행했다 5.

‘빅5’ 안과 전문의, 마약 하고 환자 7명 수술 진행했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