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자신에 대한 의혹 제기에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특히 자신의 딸 문제에 대해선 답변 중에 울먹이기도 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공동취재사진
“젊은 세대에게 실망과 상처를 주었다. 학생들에게 미안하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는 2일 국회에서 자청한 기자간담회 머리발언에서 자신을 향한 젊은 세대의 실망과 비난을 의식한 듯 사과부터 했다. 부모가 모두 교수인 남다른 ‘배경’으로 스펙을 쌓고, 다시 이를 바탕으로 명문대와 의학전문대학원에 합격한 조 후보자 딸의 대입 특혜·부정입학 논란에 대해 “합법이었다고 하더라도 딸이 혜택을 입었다고 생각한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전문직이 많은 특목고 학부모들끼리 자녀들의 인턴 활동을 ‘품앗이’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 “학교 선생님이 만든 프로그램”이었다며 모든 책임을 학교 쪽에 돌렸다. 조 후보자의 주장은 다른 학부모나 학생들의 인터뷰 내용과 차이가 많아 의혹 해소에는 못 미쳤다.
기자간담회는 조 후보자를 둘러싼 여러 의혹 중 국민적 공분을 샀던 딸 조아무개(28)씨의 논문과 관련한 질문부터 시작됐다. 조씨는 한영외고 1학년이던 2007년 2주 동안 단국대 의대에서 학교 동기생의 아버지인 이 학교 장영표 교수의 지도로 ‘학부형 참여형 인턴십’ 활동을 했다. 이어 2008년 장 교수가 책임저자인 ‘출산 전후 허혈성 저산소뇌병증에서 혈관내피 산화질소 합성효소 유전자의 다형성’이라는 영어 논문의 제1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 논문은 2009년 대한병리학회의 학회지에 등재됐다. 고등학생이 의학 논문의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린 것을 두고 특혜 논란이 일었고, 조씨가 2010년도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수시 전형에 제출한 자기소개서에 이런 경력을 적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부정입학 논란으로 번졌다. 마침 대한의사협회가 이날 조 후보자 딸이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린 의학 논문의 자진 철회를 장 교수에게 공개 요구하고 나서면서 의혹은 더욱 커지는 양상이 됐다.
이런 상황을 의식한 때문인지 조 후보자는 자신과 가족들이 혜택을 누렸다고 인정했다. 그는 “그 당시 적법이고 합법이었다고 하더라도 그걸 활용할 수 없었던 사람들에 비하면 딸이 혜택을 누렸다고 생각한다”며 “부의 불평등 문제(해결)에 앞장서서 나서지 못해 결과적으로 딸이 혜택을 입은 점을 반성한다”고도 말했다.
그러면서도 ‘각론’에서는 철저히 부인으로 일관했다. 조 후보자는 딸이 장 교수의 연구실에서 인턴을 하는 과정에 조 후보자 가족이 개입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에는 그 과정(딸의 인턴)에 대해 상세히 알지 못했고, 최근 검증 과정에서 확인했다. 학부형 참여 인턴십은 나나 내 배우자가 만든 것이 아니라 아이가 재학 중인 고등학교의 담당 선생님이 만들고 그 프로그램에 아이가 참여한 것”이라며 “학부모 모임에서 장 교수 부부와 만났을 수는 있다. 그러나 논문 제1저자와 관련해서 그 교수에게 우리 가족 어느 누구도 연락한 적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딸이 영어를 잘한다. 실험에 참석하고 난 뒤 연구원들이 실험 성과를 영어로 정리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를 한 것 같다”며 조씨가 영어 실력으로 의학 논문의 제1저자가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고등학생이 의학논문 제1저자가 된 경위에 대해서는 자신도 의아한 점이 있다고 인정했다. 조 후보자는 딸의 고교 동기생인 장 교수의 아들이 조 후보자가 재직 중인 서울대 법대 공익법센터에서 개최하고 조 후보자가 좌장을 맡았던 국제학술대회에 인턴으로 참여한 사실과 관련해 제기된 학부모들의 ‘인턴 품앗이’ 의혹도 부인했다. 그는 “장 교수 아이의 이름도, 얼굴도 모른다. 동아리 차원에서 서울대 센터 행정실에 연락해 참여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인턴십이 학교에서 마련한 프로그램이었다는 해명은 장 교수가 앞서 여러 언론에서 ‘조 후보자의 아내가 나의 아내에게 연락해와 딸 조씨가 인턴을 하게 됐다’는 취지로 해명한 것과 차이가 난다. 또 조 후보자의 딸과 같은 시기에 한영외고를 다닌 학생과 한영외고 쪽이 학부형 인턴십은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운영한 것이 아니라고 밝힌 것과도 차이가 난다.
또 조 후보자는 조씨의 화려한 인턴 경력을 입학사정관제도의 문제로 미뤘다. 조 후보자는 “(당시엔) 정부나 학교나 언론 모두에서 인턴십을 하라고 권장했다. 그 제도를 국가가, 정부가 채택했다”며 이 제도를 도입한 이명박 정부의 책임으로 돌렸다.
최우리 김민제 정환봉 기자
ecowoor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