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20년 성범죄 통계 분석해보니...‘불법 촬영’ 급증했다

등록 2020-02-26 09:35수정 2020-02-26 10:52

법무부 <2020 성범죄백서>발간
성범죄자와 재범자 특성 분석

카메라 이용 촬영 범죄
2013년 412건→2018년 2388건

재범은 같은 수법, 비슷한 장소
지하철-목욕탕-버스 등 차례
법무부.<한겨레>자료사진
법무부.<한겨레>자료사진
카메라 등을 이용한 불법촬영 성범죄가 최근 수년 새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불법촬영 범죄자는 절반 이상이 ‘벌금형’을 선고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법무부(범죄예방정책국)는 지난 2000년 7월 청소년 대상 성 매수자에 대한 신상공개 제도가 도입된 이후 20여년 간 누적된 성범죄자 7만4956명과 재범자 2901명의 특성을 분석한 ‘2020 성범죄백서’를 발간했다.

백서를 보면, 카메라 등을 이용한 불법촬영 범죄가 급증했다. 2013년 412건에 불과하던 ‘카메라 등 이용 촬영’ 범죄는 2018년 2388건으로 5.8배 늘었다.

불법촬영 관련 성범죄자 연령은 30대 39.0%, 20대 27.0%로 20~30대가 전체의 66%를 차지했다. 이들에 대한 처벌은 벌금형(56.5%)이 가장 많았다. 집행유예가 30.3%로 뒤를 이었고, 징역형은 8.2%였다. 법무부는 “성범죄 발생 장소가 교통수단, 찜질방 등 대중이용 시설이 많은 것은 스마트폰 등 디지털기기 보급이 일반화된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카메라 등 이용 촬영’ 범죄 급증이 이를 방증한다”고 설명했다.

성범죄자들은 재범 시 과거의 성범죄 수법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카메라 등 이용 촬영죄’는 동일 재범비율이 75.0%로 가장 높았다. ‘강제추행’ 70.3%, ‘공중밀집장소 추행’ 61.4% 등이 뒤를 이었다.

성범죄 재범자 중 36.5%는 과거 범죄를 저질렀던 곳과 같은 유형의 장소에서 재차 범행을 이어간 것으로 조사됐다. 장소별로는 지하철·기차에서 성범죄자를 저질렀다가 다시 지하철·기차에서 성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62.5%로 가장 높았다. 목욕탕·찜질방·사우나(60.9%), 버스(53.1%) 등 순으로 성범죄 재범 시 과거 범죄 장소의 유형이 같은 비율이 높았다. 재범 시 범행수단도 반복되는 특성이 있었다. 수면・음주・약물을 사용하여 재범한 비율이 45.1%로 가장 많았고, 금품을 이용한 범죄(37.9%), 위협·폭력을 동반한 재범(31.6%) 차례였다.

법무부는 성범죄자가 유사한 수법으로 재범한다는 점을 감안해 성범죄자의 정보를 등록해 공개·고지하는 ‘성범죄자관리제도’를 운영한다. 최근 5년간 신규 등록된 대상자는 연평균 1만2755명이고, 누적대상자는 지난해 말 기준 8만2647명으로 집계됐다. 누적대상자는 올해 10만 명을 넘을 전망이다. 등록대상자의 범죄유형은(2018년 기준) ‘강간 등’이 30.5%, ‘강제추행’이 44.1%, ‘카메라 등 이용 촬영’이 12.4%로 전체 등록대상의 87%를 차지했다. 법무부는 성범죄 분석 결과를 범죄예방에 활용할 계획이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체감 -21도 ‘코끝 매운’ 입춘 한파 온다…6일 다다를수록 추워 1.

체감 -21도 ‘코끝 매운’ 입춘 한파 온다…6일 다다를수록 추워

‘주 52시간 예외 추진’에…삼성·하이닉스 개발자들 “안일한 발상” 2.

‘주 52시간 예외 추진’에…삼성·하이닉스 개발자들 “안일한 발상”

윤석열 ‘헌재 흔들기’ 점입가경…탄핵 심판 가속에 장외 선동전 3.

윤석열 ‘헌재 흔들기’ 점입가경…탄핵 심판 가속에 장외 선동전

도올 “윤석열 계엄에 감사하다” 말한 까닭은 4.

도올 “윤석열 계엄에 감사하다” 말한 까닭은

휴일 없이 하루 15시간씩, 내 살을 뜯어먹으며 일했다 [.txt] 5.

휴일 없이 하루 15시간씩, 내 살을 뜯어먹으며 일했다 [.txt]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