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금지법 제정을 독려하는 차별금지법제정연대의 웹자보 이미지.
지난달 29일 장혜영 정의당 의원 등이 차별금지법안을 발의한 데 이어 30일 국가인권위원회가 국회에 ‘평등 및 차별금지에 관한 법률’ 입법을 권고하자, 온라인 상에서 차별금지법 제정을 촉구하고 발의에 참여한 국회의원들을 지지하는 게시물이 이어지고 있다.
1일 페이스북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보면, 시민들은 ‘#나중은없다_우리가있다’, ‘#우리에게는_차별금지법이_필요하다’는 해시태그를 붙여 “발의에 대한 지지로 차별금지법 제정까지”라는 문구를 공유하고 있다. 이와 함께 “차별할 수 있는 자유란 없다”, “내 자유와 상대의 자유가 모두 고려돼야 진정한 자유다. 차별과 폭력으로 혐오하고 배제하는 것은 표현의 자유가 아니다”, “인권은 모든 사람이 성별, 연령, 인종, 피부색, 출신민족, 출신지역, 장애, 신체조건, 종교, 언어, 혼인, 임신, 사회적 신분, 성적지향, 정치적 또는 그 밖의 의견 등에 관계없이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가진다는 가치에서 비롯된다” 등의 응원 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130여개 시민사회단체들의 연대 단체 ‘차별금지법제정연대’는 지난달 29일 “시민들의 높은 열망과 뜻 있는 정치인들이 합심하여 21대 국회 개원 한 달만에 이룬 성과”라며 “정치가 사회적 합의를 내세워 차별금지법 제정을 미뤄오는 동안 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한 시민들의 열망은 나날이 높아져 왔다. 더는 사회적 합의를 핑계로 숨을 곳도 없다. 이제 남은건 제정뿐”이라고 환영했다.
한 트위터 이용자가 올린 장혜영 정의당 의원 후원 ‘인증샷’
인권단체들도 응원 릴레이에 동참하고 있다. 성소수자차별반대무지개행동은 지난달 29일 성명을 통해 “인권은 순서를 매길 수 없으며 합의의 대상이 될 수도 없다”며 “(법안 발의로) 인권의 역사에 용기 있는 한걸음을 내딛었다”고 밝혔다. 군인권센터도 지난달 30일 “일부 교계 등 사회 일각의 망동으로 평등에 반대하고 차별을 옹호하는 위헌적 발상이 횡행하는 가운데, 인권위의 권고가 차별금지법 제정에 있어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을 기대하며 환영하는 바”라고 입장을 냈다.
대학생과 청년들의 연대체인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대학가·청년 공동행동’은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12일까지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대학가·청년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오는 15일 국회의사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명운동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차별금지법 발의에 동참한 의원들이 ‘백래시’(역공세)를 당할 수 있다는 우려에 시민들은 해당 의원들에 대한 지지를 독려하고 있다. 트위터에서는 “#차별금지법을 발의하려는 #정의당의원단이 전화 폭탄으로 고생하고 있습니다. 저를 아시는분 전원. 이 해시태그를 복붙(복사해 붙여넣기)해 트위트해주시고 다시 세 분을 지목해주세요”라는 글이 퍼지고 있다. 일부 시민들은 “혐오자는 필요없다. 난 내일 의원님 후원하러 은행갈 거다. 우리 힘냅시다”라는 등 법안 발의에 참여한 의원을 후원하자고 제안했고, 일부 트위터 이용자들은 후원금 ‘인증샷’을 올리기도 했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