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박원순 서울시장을 성추행 혐의 등으로 고소한 피해여성을 대리하는 김재련 변호사(앞줄 왼쪽 둘째)와 한국여성의전화, 한국성폭력상담소 관계자들의 13일 오후 서울 은평구 녹번동 한국여성의전화 사무실에서 연 `서울시장에 의한 위력 성추행 사건 기자회견'에서 자료가 배포되는 동안 의견을 나누고 있다. 이정아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의 성추행 피해자가 고소 사실을 밝힌 뒤 서울시 공무원들이 피해자에게 연락해 ‘2차 가해’를 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피해자와 공동 대응하고 있는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한국여성의전화는 16일 오후 ‘서울시 진상규명 조사단 발표에 대한 입장’을 내어 전·현직 서울시 공무원, 비서진 등이 피해자에게 2차 가해를 하거나 압박을 가한 정황을 공개했다. 이들은 “지난 8일 고소사실이 알려진 뒤 전현직 고위공무원, 별정직, 임기제 정무 보좌관, 비서관 가운데 피해자에게 연락을 취한 이들이 있다. 책임과 사과가 느껴진 경우는 극히 일부였다”고 밝혔다.(▶
관련 기사: 박원순 피해자 쪽 “‘시장 기분좋게 하는 역할’ 강요 받았다”)
피해자 쪽의 설명을 종합하면, 서울시 공무원 일부는 피해자에게 연락해 “너를 지지한다”면서도 “정치적 진영론에, 여성단체에 휩쓸리지 말라”고 조언했다. “힘들었겠다”고 위로하면서도 “기자회견은 아닌 것 같다”고 만류하는 공무원도 있었다. 또 “문제는 잘 밝혀져야 한다”면서도 “확실한 증거가 나오지 않으면 힘들거야”라고 피해자에게 심리적 부담을 주는 이들도 있었다고 한다.
여성단체들은 피해자에게 2차 가해를 가한 일부 고위직·별정직 공무원들을 향해 “안희정, 오거든 등의 사건에서처럼 책임을 회피하고, 축소·은폐하며, 피해자를 비난하고, 2차 피해와 퇴행적 인식을 확산하는 일을 도모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고 규탄했다.
그러면서 서울시의 진상규명 조사단 구성에 대한 거부의 뜻을 밝혔다. 이들은 “현재 이런 상황을 보면 서울시가 15일 내놓은 대책을 통해서는 본 사건을 제대로 규명할 수도, 할 의지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시는 전날 긴급기자회견을 열어 여성단체, 인권단체, 법률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진상규명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대신 피해자 쪽은 △경찰 수사 지속 및 서울시청 6층 증거 보전 △‘피해호소인’ 용어 사용 등 더불어민주당과 서울시의 퇴행적 대응 중단 △서울시 관계자들의 언론 인터뷰시 직급·부서 공개 △언론의 대안 제시 등을 요구했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