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가 7일 검사장급 검사 4명의 인사를 단행했다. 검찰 안팎에서는 ‘추미애 전 장관 때 이뤄졌던 인사 기조가 유지됐고, 윤석열 검찰총장의 의사는 사실상 반영되지 않은 인사’라는 분석이 나왔다. 윤 총장이 교체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며 이번 검찰 고위간부 인사에서 가장 관심이 쏠렸던 이성윤(사법연수원 23기) 서울중앙지검장은 유임됐다.
이번 인사로 법무부 예산과 검찰 인사를 담당하는 법무부 검찰국장은 이정수(26기) 서울남부지검장이 맡게 됐다. 법무부에서 추 전 장관의 최측근으로 꼽혔던 심재철(27기) 검찰국장은 서울남부지검장으로 이동하며, 두 사람이 자리를 맞바꿨다. 조종태(25기) 춘천지검장이 공석이던 대검 기획조정부장으로, 김지용(28기) 서울고검 차장검사가 춘천지검장으로 전보됐다.
법무부는 이날 검찰 고위간부 인사를 발표하며 “지난 1년 반 동안 6개월 단위로 세차례 인사를 실시했던 점을 감안해 종전 인사 기조를 유지하면서, 검사장급 승진 인사 없이 전보를 최소화했다”고 밝혔다.
관심이 쏠렸던 이성윤 지검장의 유임 등과 관련해서는 “현재 진행 중인 주요 현안 사건을 지휘하는 서울중앙지검장, 대전지검장을 비롯한 대부분의 검사장을 유임시켜 새롭게 시행되는 제도의 안착과 업무의 연속성을 도모했다”고 설명했다.
이른바 ‘추미애 라인’으로 분류되며 윤 총장과 대립했던 이 지검장은 이번으로 세번째 유임이다. 이 지검장은 <채널에이> 검·언 유착 사건과 청와대 선거개입·하명수사 사건 등의 처리를 미룬다는 지검 내부 비판을 받았으나 자리를 지키게 됐다. ‘월성 원전 1호기 사건’을 지휘하는 이두봉 대전지검장과 ‘김학의 불법 출국금지 사건’을 관할하는 문홍성 수원지검장도 유임됐다.
이번 인사를 앞두고 ‘이 지검장 유임 대신 윤 총장 측근들의 일부 복권 등 타협이 이뤄지지 않겠냐’는 전망이 있었지만, 윤 총장의 참모로 꼽히는 이들의 승진이나 직무복귀는 이뤄지지 않았다. 추 전 장관이 단행한 첫 인사 때부터 ‘좌천’됐던 한동훈(27기) 법무연수원 연구위원도 자리를 옮기지 못했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