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고아 곰’ 생각하며 깎았죠

등록 2007-10-11 16:30

최기순 감독의 불곰 조각상
최기순 감독의 불곰 조각상
[매거진 Esc] 여행에서 건진 보물 최기순 감독의 불곰 조각상
최기순(45)씨는 국내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상급 야생동물 다큐멘터리 감독이다. 시베리아의 야생 호랑이도, 연해주의 아무르 표범도 모두 그의 카메라에 잡혔다. 최 감독의 작업 공간은 시베리아, 연해주, 캄차카 등 한반도와 연결된 극동 지방. 멸종된 한국의 야생동물이 살아있는 곳이다.

캄차카에 처음 간 건 1997년이었다. 지금까지 다섯 차례 다녀왔다. 얼마간은 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불곰을 찍기 위해서였다. 화산과 만년설이 공존하는 캄차카는 최 감독의 말마따나 “불곰의 땅”이다. 사람이 사는 곳은 극히 일부분, 나머지는 최고 포식자 불곰이 지배한다.

한국방송 환경스페셜 ‘불곰의 땅, 캄차카’ 촬영에 한창이던 때 그로노츠키 자연보호구역에서였다.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고 외딴 오두막에서 자연보호구역 관리인만이 자연을 지키는 곳. 최 감독은 오두막에서 불곰을 기다렸다.

하지만 불곰이 매일 찾아오는 건 아닐 터. 최 감독은 할일이 없었고, 관리인은 나무를 깎아 곰을 조각했다. 최 감독이 물었다. “왜 곰을 깎지요?” “여기서 곰을 나만큼 보는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곰을 보는 대로 기억해 깎는 거지요. 보세요. 내가 깎은 곰들은 모두 얼굴과 표정이 다르잖아요.”

최 감독도 깎기 시작했다. 반달곰 미샤와 마샤를 생각했다. 미샤와 마샤는 그가 시베리아에서 거둔 어미 잃은 ‘고아 곰’들이다. 2년 동안 우유를 먹이며 키워 타이거 숲으로 돌려보냈다.

“곰은 생후 석 달부터 시작해 죽을 때까지 놀아요. 우리가 호랑이나 사자가 논다는 생각은 하지 않잖아요. 하지만 곰은 놀 줄 아는 동물입니다.”

최 감독의 해석으로, 그래서 장난기 어린 곰을 주제로 한 인형이나 조각이 많다는 것. 정말로 최 감독의 작품을 보면 노는 곰이 나온다. ‘불곰의 땅, 캄차카’에서 어린 곰 두 마리가 눈썰매를 타며 논다.

최 감독은 지금 강원도 홍천에서 자연생태박물관 준비에 한창이다. 그동안의 다큐멘터리 필름을 모아 한반도에서 사라진 야생동물을 박물관에서 틀어주고 싶다. 내년 문을 여는 게 목표.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