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돼지는 똑똑해

등록 2019-01-03 09:06수정 2019-01-03 20:39

향이네 식탁
돼지. <한겨레21> 류우종 기자
돼지. <한겨레21> 류우종 기자
2019년은 ‘황금돼지해’라고 해요. 온갖 돼지 얘기가 새해 벽두부터 미디어를 도배하고 있군요. ‘돼지 풍년’입니다. 최근 농촌진흥청 자료를 보면 돼지의 아이큐가 개(60)보다 높은 75~85 정도라고 합니다. 그동안 우리는 돼지를 많이 오해하고 있었습니다. 돼지고기는 바싹 익혀 먹어야 한다는데, 기생충학자인 서민은 과거 인터뷰에서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고 말한 적 있습니다. 1970년대 이후 축산업계의 청결도가 높아지면서 더는 돼지 몸에 기생충이 살지 않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돼지고기는 회식 메뉴 1순위로, 우리의 쏘올 푸드가 된 지 오래입니다. 두루치기, 돼지갈비찜 등 우리네 식탁엔 다양한 돼지고기 요리가 많지요. 중국은 동파육이 대표적인 돼지고기 음식입니다. 동파육만 보면 중국인은 예부터 돼지고기를 즐겨 먹은 것 같지만, 아닙니다. 북송시대 기록물 <동경몽화록>을 보면 고급 식당엔 돼지고기와 소고기 요리는 없었답니다. 소는 농경사회에서 꼭 필요한 존재이니 이해가 가지만, 돼지는 왜였을까요? 고관대작도 안 먹고, 서민도 즐기지 않았다고 해요. 가격도 매우 쌌다고 합니다. 궁금해집니다. 송나라 때 자료엔 ‘고양이 먹이로 돼지고기 순대를 팔았다’는 기록이 있다고 해요. 그 얘기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돼지고기는 사람이 먹기엔 너무 비천하고 보잘것없는 먹을거리라는 얘긴 거죠.

어찌 됐건 2019년에도 돼지고기 사랑은 쭉 이어질 듯합니다. 중국의 매운 향신료 화자오로 버무린 알싸한 돼지고기 요리도 곧 식당에 등장할 거 같습니다. 화자오를 넣은 중국의 마라탕이 지금 서울뿐만 아니라 부산까지 대세 음식으로 뜨고 있다는군요. 그래서 ESC가 준비했습니다. 가볼 만한 마라탕집, ‘마라에 미친 이들’(?)이 꾸린 ‘범마라연대’ 얘기를요. 가정에서 쉽게 만들 수 있는 마라요리 방법도 소개합니다. 뜨겁고 매운맛으로 2019년을 신나게 시작해보시길.

박미향 팀장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