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클하’ 해도 될까요?

등록 2021-03-11 08:00수정 2021-03-11 09:56

클립아트코리아
클립아트코리아

기자생활을 하다 보면 뜻하지 않은 요청이 올 때가 있습니다. 강연이나 방송 출연 같은 것 말입니다. 전통 음식, 외식, 먹거리 글쓰기 등 다양한 주제로 꽤 여러 차례 강연을 했지요. <여성시대>(MBC)도 한동안 출연했었고, 설이나 한가위 같은 명절엔 어김없이 전통 음식을 방송에서 소개했답니다. 꼭두새벽 <한국방송>(KBS)에 가 ‘세계 음식’을 소개한 적도 있지요. 한 대학에서 한 학기 강의도 했습니다. 요리사가 꿈인 친구들에게 ‘레시피 쓰는 법’을 포함한 ‘음식 비평’ ‘음식 글쓰기’를 가르쳤죠. <찾아라, 맛있는 TV>(MBC)에 출연했을 때는 제 말이 통편집되는 수모도 겪었습니다.(한 후배의 아내는 꽃단장하고 다소곳하게 앉아 있는 저를 보고 ‘신사임당’인 줄 알았다나요.)

말하기란 하면 할수록 어렵더군요. 자신감은 뚝 떨어지고, 두렵기까지 하더이다. 공포가 커지자 급기야는 방송 초창기부터 자문했던 <수요미식회>(tvN)가 시즌2를 시작하면서 고정 패널로 나와 달라는 요청을 했는데, 그것도 거절했습니다. 어쨌든 거절 횟수가 늘자 이젠 요청이 뜸합니다. 물론 마음은 편합니다. 미련도 없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 의문은 남습니다. 왜 하면 할수록 저의 말하기는 늘지 않은 걸까요? 후회될 정도로 더듬거리는 말투는 고쳐지지 않는 걸까요? 지난 일은 잊자는 게 인생 철학이라서 굳이 곱씹어 마음의 상처를 남기진 않았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요즘은 또 ‘클럽하우스’(쌍방향 음성 기반 에스엔에스)가 난리더군요. 초대받아서 등록을 하긴 했는데, 도무지 말하기 방에 들어갈 엄두가 안 납니다.

그런데 이번 ESC 커버 주제 ‘말 잘하는 법’을 읽고 난 후 이유를 알았습니다. 전 ‘자신의 말 모니터링하기’에 게을렀더군요. 처음부터 말 잘하는 이는 없다고 합니다. 잘못을 알았으니 이제라도 고쳐야 하나요? 누구나 자기 말을 할 수 있는 시대, 독자님의 선택이 궁금합니다.

박미향 팀장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