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격렬하거나 고요하거나

등록 2019-04-03 19:43수정 2019-04-03 20:06

향이네 식탁
야생사진 전문가 호시노 미치오. 사진 논장 제공
야생사진 전문가 호시노 미치오. 사진 논장 제공

호시노 미치오가 찍은 사진을 보면 전 명상에 빠집니다. 하지만 조용한 무음 같은 명상은 아닙니다. 오히려 가슴이 쿵쿵 뛰고, 혈관이 돌출하고, 눈동자에 힘이 들어갑니다. 하지만 격렬한 제 몸에 반응과 비교하면 마음은 물보라 하나 없는 호수처럼 평화가 찾아옵니다.

호시노 미치오는 10대 후반 알래스카를 방문한 후, 30여년간 그 지역의 대자연을 카메라에 담은 사진가입니다. 일본 출신의 야생사진 전문가죠. 설탕 덩이 같은 얼음이 둥둥 뜬 그의 사진은 오싹할 정도로 차갑고 매몰차 보이지만, 갓 지은 밥 같은 온기가 느껴집니다. ‘발견과 망각이 거듭되어온 알래스카에서도 원주민이란 존재는 늘 소외되어 있다’라고 그는 <알래스카, 바람 같은 이야기>에 썼지요. 그 땅을 딛고 사는 이들에 대한 연민과 측은지심이 그의 사진에 온기를 불어넣는 요소죠. 그의 사진을 빛나게 하는 건 또 있습니다. 바로 알래스카 대자연입니다. 강 앞에 수백마리 짐승이 풀을 뜯고, 그 뒤에 아버지처럼 굳건하게 버티고 있는 커다란 산자락. 앵글의 어느 한 귀퉁이도 놓치고 버릴 게 없는 자연은 오롯이 제 맘에 들어와 고요의 천국으로 안내합니다. 자연이야말로 신이 우리에게 준 엄청난 선물이죠.

이번 ESC가 추천하는 여행지는 대자연이 펼쳐지는 아프리카. 그 아프리카의 원시적이고 격렬한 매력을 경험하러 가기 전에 몇 년 전 한국에 상륙한 아프리카 댄스에 박자를 먼저 맞춰 보라는 이들이 있더군요. 그들의 춤은 보기만 해도 호시노 미치오 사진처럼 심장을 뛰게 합니다.

아프리카 이야기만 이번 호에 있는 건 아닙니다. 4회를 맞은 ‘강원국의 글쓰기에 관한 글쓰기’에는 행복을 부르는 공감 능력을 글을 통해 높이는 비법이 실려 있습니다. ‘보통의 디저트’도 포복절도, 박장대소를 부릅니다. 박상영 작가는 또 어떻고요. 첫 문장을 읽는 순간 신문을 내려놓을 수가 없습니다. 자, 춤추며 놀고, 읽으며 한 주를 보내시길.

글 박미향 팀장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