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섬과 평양냉면, 그리고 고독

등록 2019-08-28 20:14수정 2019-08-28 20:23

향이네 식탁
백령도. 김선식 기자
백령도. 김선식 기자

백령도엔 특별한 평양냉면(이하 평냉)이 있습니다. 9년 전 여름은 더위가 지금과 견줘 조족지혈 수준이었지만, 흐르는 땀에 불쾌해지긴 마찬가지였답니다. 평냉집에 줄 서는 것도 귀찮고, 중소기업 수준의 식당에서 겪은 괄시도 잊을 수가 없었지요. 그래서 숨은 평냉 고수를 찾아 다녔습니다. 그러다 백령도를 발견했지요.

그 섬엔 10그릇 먹고도 또 생각이 난다는 평냉집들이 하나도 아니고 7곳이나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지요. 8월, 그 여름에 도착한 백령도에서 저를 제일 먼저 환대한 것은 점박이물범이었습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관광 명소 ‘피어39’에서 한껏 제 몸 자랑하는 바다사자와 대적할 만큼 예쁘고 아름답더이다.

백령도는 본래 해방 전엔 황해도 땅이었습니다. 북쪽이 고향인 평냉의 맛이 살아있더군요. 까나리액젓으로 간을 하는 점이 특이했어요. 지금도 평냉 얘기가 봄날 벚꽃처럼 만발하면 저는 그 섬, 백령도에 가고 싶습니다. 달곰한 해풍이 부는 두무진과 재회하고, 베일 것 같은 뾰족한 바위에 기대 유랑객마냥 부어라 마셔라 하고 싶어요. 그리움은 시간이 차곡차곡 쌓일수록 깊어만 가더이다. 인천항에서 배로 4시간 거리. 이웃집처럼 들락거릴 수 없는 곳이지요. 우리는 닿을 수 없는 것에 더 애달파 합니다. 더 안달합니다. 제게 백령도는 그런 곳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김선식 기자가 어느 날 툭 던지더군요. “백령도, 대청도 다녀오겠습니다.” 저 같은 대책 없는 먹깨비도 아닌 김 기자가 왜 백령도를? 속으로 생각했죠. “가을을 제일 먼저 맞이하는 섬, 백령도와 대청도를 고독하게 여행해보려고요.” 속으로 배시시 웃었습니다. 같은 섬도 사람마다 시선이 다르더군요. 이번 주 김 기자가 전하는 두 섬의 속살에 유혹당해 보시죠. 절대 후회 안 하실 거라 장담합니다.

박미향 팀장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