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우리 집 꼬마와 ‘작은 아씨들’

등록 2020-03-11 22:39수정 2020-03-12 02:10

향이네 식탁
영화 <작은 아씨들>의 한 장면. 사진 소니 픽쳐스 제공
영화 <작은 아씨들>의 한 장면. 사진 소니 픽쳐스 제공

우리 집은 딸만 넷입니다. 어린 시절 사진을 꺼내보면 영락없는 ‘작은 아씨들’이지요. 마당에 돗자리를 깔고 소꿉놀이를 하는 사진에선 앉은 자세만 봐도 누가 ‘조’이고 ‘에이미’인지 알 수 있습니다. 아이스크림콘을 들고 파란 대문 앞에 선 사진에서도 말괄량이 ‘조’를 발견할 수 있지요. 한 발을 삐딱하게 빼고는 활짝 웃고 있습니다.

그레타 거윅 감독의 <작은 아씨들>이 개봉했지만, 흥행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작은 아씨들’이었던 우리도 극장 갈 엄두가 안 나는군요. 그레타 거윅은 <씨네21>과의 인터뷰에서 “이 책(루이자 메이 올컷이 쓴 원작 <작은 아씨들>)과 함께 자랐다”고 했습니다. “19세기 시대극이 아니라 오늘의 이야기”라며 “더 멀리 가고자 꿈꾸는 여성들에게 너무나도 중요한 이야기”라고도 덧붙였지요. 그 말에서 저자 루이자 메이 올컷과의 연대의식이 느껴집니다.

올컷은 엄청난 ‘폭필’의 작가였다고 합니다. 한번 펜을 들면 잠도 안 자고, 밥도 안 먹으면서 우사인 볼트처럼 달렸다고 하지요. 그의 그런 습관은 <작은 아씨들>의 주인공 조 마치에 잘 투영되어 있습니다. 조가 글에 매달릴 때면 가족들은 살얼음판을 걷듯 눈치를 봅니다. 그의 상태가 그대로 드러나는 모자를 예민하게 살피는 겁니다. ‘조가 모자를 비스듬히 썼나? 아니면 모자가 바닥에 내동댕이쳐 있나?’

요즘 조의 부모 같은 이들이 많습니다. 개학이 연기된 아이들은 짜증이 폭발 직전입니다. 그들을 챙겨야 하는 이들이지요. 아이가 있는 제 친구들은 이구동성 “괴롭다”고 합니다. ‘가보지 않은 나라’지만, 짐작은 됩니다. 그래서 ESC가 준비했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조처럼 매달릴 만한 것들을 모아봤습니다. 종이 접고, 퀴즈 풀고, 눈물 쏙 빼는 영화를 보다 보면 코로나19도 어느 틈에 저 멀리 달아나겠지요.

박미향 팀장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