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손가락 소설

등록 2020-03-19 09:31수정 2020-03-19 09:50

필립 케이(K) 딕의 작품을 영화화한 작품, <블레이드 러너> 사진 수입사 제공
필립 케이(K) 딕의 작품을 영화화한 작품, <블레이드 러너> 사진 수입사 제공

어린 시절 매달 바뀌는 꿈 중엔 에스에프(SF)작가가 있었습니다. 필립 케이(K) 딕이나 아이작 아시모프의 작품을 읽으면서 그 꿈은 더 커졌지만, 철이 들면서 깜냥이 안 된다는 사실을 깨달았지요. 하지만 친구나 동료들이 노벨문학상 작품이나 경제서에 몰입할 때 전 에스에프 소설과 영화에 탐닉하면서 의리를 지켰습니다.

최근 기쁜 소식이 들리더군요. 에스에프물이 대중의 사랑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오랫동안 찬 데서 거친 밥을 먹으며 버틴 우직함이 드디어 열매를 맺나 봅니다. 그리고 ESC는 운이 좋았습니다. 이번 달부터 매달 한편씩 ‘손가락 소설’을 싣기로 했는데, 그 첫 번째 출동 창작자가 배명훈 작가입니다. 그는 한국의 대표적인 에스에프작가죠. 그가 생경하지만 따스한 우리 미래에 대한 얘기를 보내왔습니다. 최근 그는 에세이집 도 펴냈지요. 2009년 출간한 소설 <타워>도 개정 복간한다지요.

작가란 책의 마지막 장, 그 날카로운 선 위에서 사는 이들이 아닐까요. 책 마지막 장의 한쪽은 소설의 결론이지만 다른 한쪽은 발행인과 책값이 적힌 현실 세계죠. 그 경계선에서 중심을 잘 잡는 작가가 살아남죠. 배 작가도 그런 이들 중 한명이 아닐까요. 그의 작품은 미국 에스에프 잡지 <클락스월드>에 소개됐고, 곧 영국에서 <타워>가 출간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의 날갯짓이 힘찹니다.

‘손가락 소설’이 무엇인지 궁금해하는 독자들이 있겠죠. 콩트보다는 길지만, 단편소설보다는 짧은 글로, ESC 구성원들이 머리를 맞대고 정립(?)한 소설 개념입니다. 이번 호엔 배 작가의 작품만 근사한 게 아닙니다. 코로나19 때문에 ‘집콕’하는 이들을 위해 ESC다운 거창한(?) 날갯짓도 준비했습니다. 반짝반짝 반들반들! 청소 말이죠. 그냥 청소가 아닙니다. 집 안의 매우 구석진 데까지 치우는 겁니다. ‘마이크로 청소’인 거죠. 쓸고 닦다 보면 시련도 지나가겠죠.

박미향 팀장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