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신문기자와 ‘거북이 목’, 그리고 식물

등록 2020-04-02 09:30수정 2020-04-02 10:16

향이네 식탁
영화 <신문기자>. 사진 수입사 제공
영화 <신문기자>. 사진 수입사 제공

거북이 목 (우리말 샘) 뼈가 일자인 상태의 목. 컴퓨터 모니터, 책, 휴대폰 따위에 집중하여 목이 거북이처럼 툭 튀어나온 모양.

국어사전에 등재된 ‘거북이 목’의 정의입니다. 이 시대엔 ‘거북이 목’ 인종이 도처에 많습니다. 마치 치료가 불가능한 질병처럼 보이기도 하지요. ‘거북이 목’ 인종이 가장 많은 곳이 어디일까요? 배우 심은경이 주연한 영화 <신문기자>를 본 이들은 금방 맞힐 수 있을 겁니다. 네, 맞습니다. 영화 제목 그대로 신문사 기자 대부분이 ‘거북이 목’입니다. 저도, 제 후배도, 제 동료도 비슷한 자세로 글을 쓰고 있죠. 심은경은 영화 출연 제안을 받고 신문사를 방문해 기자들을 살폈다고 합니다. 연기파 배우답습니다.

영화는 극적이진 않지만, 촘촘한 구성으로 이 시대 정의에 대해 따져 묻습니다. 언뜻 해피엔딩처럼 보이지만, 서사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꼭 그런 것도 아닙니다. 여전히 개운하지 않은 숙제가 남는 영화지요. 신문기자가 아니면 공감을 크게 못 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 영화를 ‘강추’하는 이유는 세상의 불공정과 권력자의 더러운 작태가 여전하기 때문이죠. <써니>, <수상한 그녀>에서 심은경이 아닌, 다른 심은경을 발견한 게 가장 큰 소득입니다.

몇 주 전 나른한 휴일 오후, <신문기자>를 보면서 구부정한 ‘거북이 목’ 자세에서 물개 박수를 치다가 허리를 쫙 한번 펴봤습니다. ‘거북이 목’에서 빠져나오자 다른 것들이 보이기 시작했어요. 거실에 아담하게 놓인 화분 말입니다. 전 반려식물 키우는 인종은 아닙니다. 오래전 선물 받은 화분이죠. 따스한 햇볕을 받아 잎은 말랐더군요. ‘물 주세요’를 외치는 식물을 보고 더럭 겁이 났습니다. 행여 제가 죽일까 해서요. 하지만 이번 주 ESC의 다양한 식물 얘기를 읽고 나니 안심이 됐답니다. 저와 같은 분들이 많으실 테죠. 이 봄, 식물 사랑에 나서봅시다.

박미향 기자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