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희 기자
김양희 기자의 맛있는 야구 /
흔히 야구를 신사의 스포츠라고 한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야구가 과연 신사 스포츠일까 싶다. 상대의 조그만 버릇까지도 잡아내 공격과 수비에 이용하는, 조금은 치졸해보이는 스포츠가 바로 야구이기 때문이다. ‘지피지기면 백전불태’(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아니하다)라던가.
보통 타자들은 투수가 글러브를 잡는 방법이나 투구할 때 손의 위치 등으로 구질을 알아낸다. 어떤 투수는 공던지는 순간의 입모양으로 타자에게 고스란히 구질을 알려주는 이도 있다. 롯데 염종석의 경우는 글러브 모양이 문제였다. 포크볼을 던질 때 평소와 달리 글러브가 벌어져서, 그 공을 노리고 타석에 들어선 타자들에게 통타당하곤 했다. 무의식 중에 하는 행동이라 버릇을 고칠 때까지는 제법 시간이 걸린다.
올해 한국시리즈 3차전 때 에스케이 조웅천을 상대로 홈런을 때려냈던 두산 최승환은 당시 인터뷰에서 “구종에 따라 조웅천의 팔 높이가 약간 다른 것을 이용해 미리 구종을 알고 쳤다”고 말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버릇을 끄집어내는 대상은 비단 투수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루를 시도하려는 루상의 주자도 그들만의 습관이 있다. 지금은 고쳐졌지만 이종범(KIA)은 도루를 시도할 때 몸을 좌우로 흔드는 버릇이 있었다. 도루왕을 5번이나 했던 김일권(전 해태)은 도루하기 직전 습관적으로 발 앞꿈치와 뒤꿈치를 이용해 슬금슬금 2루쪽으로 가곤 했다.
명포수 출신의 기아 조범현 감독은 “주자들은 2루로 뛰려고 할 때 일반적으로 중심을 오른쪽에 두거나 앞쪽에 둔다. 주자들의 움직임을 보고 포수는 견제나 송구준비 등의 대비를 미리 하게 된다”고 했다. 주자들의 버릇을 잘 포착해내는 ‘현미경’ 포수들은 도루저지율도 상대적으로 높다.
타자들도 일종의 버릇이 있다. 자기가 노리던 공이 들어오지 않았을 때 순간적으로 반응하는 동작들이 있다. 베테랑 포수들은 종종 초구에 대한 타자들의 반응도를 살펴 타석에 선 선수가 변화구를 노리는지, 직구를 노리는지 간파한다. 방망이 스윙궤적과 발의 위치, 그리고 몸의 움직임 등을 곁눈질로 파악하고 타자들과 수싸움을 시작하는 것. 에스케이 베테랑 포수 박경완은 “초구나 두번째 공이 날아올 때 타자들의 움직임을 보면 ‘아, 이 선수가 변화구를 노리는구나’ 싶을 때가 있다. 경험을 이용해 감으로 느끼는 것”이라고 했다.
올해는 프로야구 전 경기가 케이블 텔레비전으로 중계되면서 선수들의 버릇을 잡아내는 게 더 쉬웠다. 텔레비전이 제2의 전력분석원이었던 셈이다. 습관이란 무서운 것이다. 하지만, 야구에서 남에게 간파당한 습관은 더 무섭다.
김양희 기자 whizzer4@hani.co.kr [한겨레 주요기사]
▶ 세계 자동차 `감산 한파’…한국차도 ‘빙하기’ 성큼
▶ 자동차 ‘해고 바람’…미국 올 10만명 육박
▶ 부시의 등 두드린 오바마 “경기부양책 승인해주시죠”
▶ “FTA발효땐 파생상품 규제 사라져 금융시스템 큰 위험”
▶ [한겨레시사다큐] 촛불 그 후, ‘진압’은 끝나지 않았다
▶ “유치장 ‘속옷 탈의’에 인권위 미지근”
김양희 기자 whizzer4@hani.co.kr [한겨레 주요기사]
▶ 세계 자동차 `감산 한파’…한국차도 ‘빙하기’ 성큼
▶ 자동차 ‘해고 바람’…미국 올 10만명 육박
▶ 부시의 등 두드린 오바마 “경기부양책 승인해주시죠”
▶ “FTA발효땐 파생상품 규제 사라져 금융시스템 큰 위험”
▶ [한겨레시사다큐] 촛불 그 후, ‘진압’은 끝나지 않았다

▶ “유치장 ‘속옷 탈의’에 인권위 미지근”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