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리노 겨울올림픽] 세차례 아찔한 위기 0.02초차 메달 갈려
허벅지는 터질 듯 팽팽해진다. 중력을 거부하고 앞으로만 나가기 위해 두팔을 힘차게 휘두른다. 빙판과의 마찰이 힘겹다.
이강석(21·한국체대)은 마지막 남은 근육 속의 글리코겐을 다 연소시키며 골인했다. 전광판에는 35초09가 찍혔다. 숨막힐 듯 긴장된 순간이 잠시 흐른 뒤, 그의 이름 옆에는 1·2차 시기 합계기록 70.43과 동메달을 뜻하는 ‘3’이 선명하게 새겨졌다. 순간 이강석의 두손은 힘차게 하늘을 향해 뻗었고, 한국 선수단과 응원단에서는 환호성이 터졌다.
14일 새벽(한국시각) 2006 토리노 겨울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 경기가 열린 오발링고토 아이스링크. 1차 시기에서 35초34를 기록했던 이강석은 2차 시기 더 빠른 질주로, 1992년 알베르빌 겨울올림픽 때 김윤만의 은메달(남자 1000m) 이후 스피드스케이팅에서 무려 14년 만에 한국에 감격의 메달을 안겼다.
옆선수 부정출발에 리듬 깰뻔
코스 교차지점에서 충돌할뻔
막판 지구력 한계로 처질뻔 금메달은 37명의 출전자 중 유일하게 1·2차 시기를 모두 34초대에 주파한 미국의 조이 칙(69초76)이 차지했고, 2그룹에서 뛴 드미트리 도로페에프(러시아·70초41)가 이강석에 불과 0.02초 앞선 기록으로 은메달을 따냈다. 이강석의 동메달은, 육상 100m에 비견되는 스피드스케이팅 500m에서 나온 것이어서, 쇼트트랙 금메달 이상으로 값지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강석은 이날 3차례 이슬아슬한 위기를 극복했다. 첫번째 위기는 1차 시기에서 맨 마지막 19조에 함께 편성된 킵 카펜터(2002년 솔트레이크 겨울올림픽 500m 동메달리스트)가 부정출발하면서 왔다. 킵이 또 부정출발을 하면 이강석은 혼자 레이스를 펼칠 수밖에 없어 불리해지는 상황이었다. 이강석은 경기 뒤 “킵이 부정출발하는 바람에 리듬이 깨져 심적으로 부담이 컸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이강석은 재출발에서 100m를 9초65의 좋은 기록으로 스타트를 끊어 위기를 넘겼다. 두번째 위기는 인코스와 아웃코스가 만나는 지점에서 킵과 충돌할 뻔 한 것. 아웃코스로 뛴 이강석은 자신보다도 교차지점에 늦게 도착한 킵과 충돌을 피하기 위해 속도를 줄여야 했다. 마지막 3번째 위기는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었다. 2차 시기에서 자신의 최고기록(34초55)에 근접하면 금메달도 바라볼 수 있었다. 조이(1차 시기 1위)와 함께 출발한 이강석은 초반 조이를 제치고 100m를 9초63에 돌파해 기대를 부풀렸다. 그러나 3코너까지 앞서 가던 이강석은 4코너에 접어들며 눈에 띄게 지쳐갔다. 지구력이 약한 그에게 한계가 온 것이다. 이강석은 이 순간 “사력을 다했다”고 경기 뒤 털어놨다. 35초17은 1차 시기 기록을 0.17초 단축하고 조이(34.94)에 이은 2차 시기 2위의 기록이었다. 김윤만은 알베르빌에서 0.01초 차이로 금메달을 놓쳤다. 이강석은 “0.02초 차이로 은메달을 놓친 게 아쉽지만, 동메달만으로도 다시 태어난 기분”이라며 환하게 웃었다. 이날 이강석과 함께 출전한 최재봉(26·동두천시청)은 71초04로 8위, 이규혁(28·서울시청)은 71초38로 17위, 1차 시기에서 미끄러졌던 권순천(23·성남시청)은 최하위로 밀렸다. 토리노/김동훈 기자 cano@hani.co.kr
코스 교차지점에서 충돌할뻔
막판 지구력 한계로 처질뻔 금메달은 37명의 출전자 중 유일하게 1·2차 시기를 모두 34초대에 주파한 미국의 조이 칙(69초76)이 차지했고, 2그룹에서 뛴 드미트리 도로페에프(러시아·70초41)가 이강석에 불과 0.02초 앞선 기록으로 은메달을 따냈다. 이강석의 동메달은, 육상 100m에 비견되는 스피드스케이팅 500m에서 나온 것이어서, 쇼트트랙 금메달 이상으로 값지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강석은 이날 3차례 이슬아슬한 위기를 극복했다. 첫번째 위기는 1차 시기에서 맨 마지막 19조에 함께 편성된 킵 카펜터(2002년 솔트레이크 겨울올림픽 500m 동메달리스트)가 부정출발하면서 왔다. 킵이 또 부정출발을 하면 이강석은 혼자 레이스를 펼칠 수밖에 없어 불리해지는 상황이었다. 이강석은 경기 뒤 “킵이 부정출발하는 바람에 리듬이 깨져 심적으로 부담이 컸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이강석은 재출발에서 100m를 9초65의 좋은 기록으로 스타트를 끊어 위기를 넘겼다. 두번째 위기는 인코스와 아웃코스가 만나는 지점에서 킵과 충돌할 뻔 한 것. 아웃코스로 뛴 이강석은 자신보다도 교차지점에 늦게 도착한 킵과 충돌을 피하기 위해 속도를 줄여야 했다. 마지막 3번째 위기는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었다. 2차 시기에서 자신의 최고기록(34초55)에 근접하면 금메달도 바라볼 수 있었다. 조이(1차 시기 1위)와 함께 출발한 이강석은 초반 조이를 제치고 100m를 9초63에 돌파해 기대를 부풀렸다. 그러나 3코너까지 앞서 가던 이강석은 4코너에 접어들며 눈에 띄게 지쳐갔다. 지구력이 약한 그에게 한계가 온 것이다. 이강석은 이 순간 “사력을 다했다”고 경기 뒤 털어놨다. 35초17은 1차 시기 기록을 0.17초 단축하고 조이(34.94)에 이은 2차 시기 2위의 기록이었다. 김윤만은 알베르빌에서 0.01초 차이로 금메달을 놓쳤다. 이강석은 “0.02초 차이로 은메달을 놓친 게 아쉽지만, 동메달만으로도 다시 태어난 기분”이라며 환하게 웃었다. 이날 이강석과 함께 출전한 최재봉(26·동두천시청)은 71초04로 8위, 이규혁(28·서울시청)은 71초38로 17위, 1차 시기에서 미끄러졌던 권순천(23·성남시청)은 최하위로 밀렸다. 토리노/김동훈 기자 cano@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