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을 책상 앞에 붙들어놓거나, 공부를 하라고 닥달을 한다고 공부를 잘 하는 건 아니다. 공부할 물리적 환경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심리적 조건이다. 심리적으로 정리정돈이 되어, 평온하게 오직 공부에 집중할 수 있을 때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최적의 심리 요건을 갖추기 위한 것이 바로 명상이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 소아정신 증상 치료에 마음챙김을 비롯한 명상들이 활용되고 있는데, 일상적인 교육 현장에서도 아이들의 집중력 증대를 위해 명상을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있다.
교육 효과 증대에 어떻게 명상을 활용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국내에 최고의 전문가들의 강연을 통해 답을 얻고, 직접 명상을 따라해볼 수 있는 장이 펼쳐진다. ‘2021서울릭랙스위크 명상컨퍼런스’다. 이 행사는 오는 11월5일부터 7일까지 3일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슈피겐홀 등에서 펼쳐지는 대면행사와 함께 줌 강연을 병행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조계종과 불교신문, 불광미디어 주관으로 ‘마음챙김이 있는 교실(Mindfulness in Education)’을 주제로 진행된다. 명상교육의 세계적인 전문가들이 출동하는 강연은 대면엔 한국어와 영어 순차 통역이, 영상엔 한글과 영문 자막 서비스가 제공된다. 컨퍼런스의 과정과 결과는 영상콘텐츠 및 자료집으로 제작되어 어린이와 청소년 명상 교육을 위해 무상으로 배포할 예정이다.
첫날엔 ‘명상, 교육이 되다’를 주제로 카이스트 명상과학연구소장인 미산 스님과 ‘당신의 세 개의 눈(Your 3 Eyes)’설립자 메건 스위트, <마음챙김 놀이>(Mindful Games)의 저자 수잔 카이저 그린랜드가 ‘오프닝 대담’을 나눈다.
또 3일째엔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겸 치유와행복융합연구인 서광스님과 ‘나 자신과 친구되기 방법’커리큘럼 공동개발자인 노스캐롤라이나대 조교수 카렌 블루스가 ‘어떻게 내가 나를 도울 수 있을까?’를 주제로 대담한다.
특히 청소년과 학생들을 위한 마음챙김프로그램 ‘여전히 고요한 곳’ 개발자 에이미 샐츠만, <마음챙김과 비폭력대화>의 저자 오렌 제이 소퍼, 27년간 230여 개 미국 공·사립 학교에서 상담가이자 교육자로 활동해온 킴 존 페인, 권용실 가톨릭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대한명상의학회장이자 고담의료재단 마야병원 정신건강의학연구원장 김경승 회장, 제주대학교 정산건강의학과 곽영숙 명예교수, 동국대학교 아동청소년교육학과교수 혜주 스님, 한국명상심리상담연구원 부원장 효림 스님, 대화 디자이너인 신호승 작가 등이 강연에 나선다.
이번 명상컨퍼런스는 단순한 이론 교육이나 일방적인 강의에 그치지 않는다. 컨퍼런스 뒤 8일부터 10일까지는 연사들이 직접 안내하는 컨퍼런스 실습 프로그램 5종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운영된다. 온라인 프로그램은 △메건 스위트와 함께하는 마음챙김 명상 △메건 스위트와 함께하는 어린이를 위한 마음챙김 명상 △수잔 카이저 그린랜드와 함께하는 어린이를 위한 마음챙김 놀이 명상 △오렌 제이 소퍼와 함께하는 마음챙김 명상 7단계 △킴 존 페인과 함께하는 교육자를 위한 연민명상 3단계 등이다.
대면 프로그램으로는 △미산스님의 교육자를 위한 하트스마일명상( 8일) △혜주스님의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하는 시러닝 사회, 정서, 인성 교육 실습(8일) △효림스님·나의현 과장의 청소년을 위한 자기돌봄 - 나 자신과 친구되기( 9일) △신호승 작가의 평화로운 공동체를 위한 회복적 대화 실습(10일) △행복수업협동조합 안내자그룹의 학부모와 자녀가 함께하는 마음돌봄 공감 명상(10일) 등이 이어진다.
이번 서울릭랙스위크는 ‘명상을 통한 마음챙김’을 주제로 서울시내 사찰과 공원, 요가원, 채식식당, 한옥 등 100여곳의 ‘마음쉬어가는 곳’(릴랙스 스팟)에서도 참여할 수 있다. 구체적인 행사는 누리집(relaxweek.kr)에서 상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