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 손진우 관장(왼쪽)과 최영갑 교육원장이 서울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 내 유학을 가르치던 명륜당 앞에서 사서를 들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조현 기자
<대학> <논어> <맹자> <중용> 등 ‘사서’는 유교 국가였던 조선시대엔 과거를 보려는 자라면 반드시 익혀야 할 교과서였다. 현재엔 그런 효용이 없음에도, 동양학과 인문학을 공부하려는 이들에겐 여전히 인기다. 서점엔 이들 책의 번역서가 무수하다.
그런데 성균관이 사서를 마치 성경처럼 하나의 가죽책으로 묶어 휴대용으로 펴냈다. 최초의 일이다. 성균관은 성균관대 입구에 있지만 대학이 아니라, 전국 234개 향교와 700개 서원의 책임자들이 참여하는 유림 조직이다.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을 찾았다.
1년 전 3년 임기의 성균관 수장에 취임한 손진우(86) 관장은 “조선시대의 패권 문화가 아닌 생활 철학으로서 사서의 가치는 지식인들도 인정한다”며 “이제 유림뿐 아니라 국민 누구나 보기 편리한 사서를 접할 수 있게 됐다”고 자랑했다.
이번 사서 편찬은 최영갑(58) 성균관 교육원장 겸 유교문화활성화사업단장이 편집위원장을 맡아 지휘했다. 최 원장과 김용재 성신여대 교수, 박광영 총무부장 겸 의례부장, 안은수 성균관대 교수, 오흥녕 유교문화활성화사업단 연구원, 이상호 유교신문사 대표, 허종은 한림원장 등 7명이 6개월 만에 독회를 거쳐 완간했다. 성균관대 유학대학원에서 사서를 가르치는 최 원장 등도 개인적으로 사서 번역서를 낸 적이 있지만, 이번엔 7명의 공동작업을 거쳐 합의된 사서를 낸 것이다.
특히 ‘성균관 <사서>’에서 주목할 점은 조선 성리학이 주자의 주석을 중심으로 삼은 것과 달리 주자의 주석을 뺀 혁신을 시도했다는 점이다. 최 원장은 “주자가 대단한 학자이긴 하지만, 왕양명이나 다산 정약용 등 수많은 학자의 주석이 있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주자학자보다 오히려 양명학자가 많다. 주자학도 참고는 했지만 주자학 일변도로 나갈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 책은 초보자도 손쉽게 읽도록 하는 데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한글세대도 읽을 수 있도록 모든 한자에 한글음을 달았고, 세로로 원문 바로 아래에서 한글 번역을 읽을 수 있도록 했다. 또 여러 음으로 동시에 쓰여 헛갈릴 수 있는 한자나 인명, 지명은 같은 쪽에서 색인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사서를 편찬한 최영갑 성균관 교육원장 겸 유교문화활성화사업단장(왼쪽부터), 허종은 성균관 한림원장, 이상호 유교신문사 대표, 손진우 성균관장, 박광영 성균관 총무부장 겸 의례부장, 오흥녕 성균관 유교문화활성화사업단 연구원, 김용재 성신여대 교수. 성균관 제공
앞으로 이 책은 전국의 향교에서 행해지는 고전 교육의 교과서로 사용된다. 손 관장은 “방송예술인단체와도 성균관이 교육을 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며 “사서가 국민의 인성교육에 일익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최 원장은 “요즘은 종교로서 유교를 믿는 사람보다 동양고전을 익히기 위해 향교에 오는 공무원과 교사 등 퇴직자가 대부분”이라며 “늦게 입문하다 보니 과거에 견줘 수준이 많이 떨어졌는데, 이 사서가 공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원장은 또 “디지털 시대엔 인간 소외가 심해지기에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사서 교육이 더욱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포항 출신인 손 관장은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1970년 화학 회사를 창립해 키운 기업인 출신이다. 경주(월성) 손씨 중앙종친회장을 지낸 그는 팔순이 지난 나이인 2015년 북한대학원에서 통일정치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2017년부터는 성균관대 유학대학원에서 석·박사과정을 밟으며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뒤늦게 배움의 즐거움에 빠진 그는 사서 가운데 <논어>의 첫 편인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悅乎·배우고 또한 익히면 즐겁지 아니한가)를 가장 애송한다고 했다.
유학대학원 석사과정생에 입학한 손 관장을 가르치다 그를 성균관 수장에 옹립해 성균관의 변신을 꾀한 최 원장은 그의 꿈을 담은 애송 구절을 제시했다. ‘생호금지세 반고지도 여차자 재급기신자야’(生乎今之世 反古之道 如此者 災及其身者也), 즉 ‘지금의 세상에 살면서 옛 제도를 돌이키려 한다면, 이와 같은 자는 재앙이 그 몸에 미칠 것’이라는 뜻이다. 손 관장도 “사서를 배우는 것은 옛것을 고집하려는 것이 아니라 옛것을 배워 새것을 아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을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조선 유학자 가운데 가장 존경하는 사람으로 손 관장은 일본에서까지 큰 존경을 받는 퇴계 이황을 꼽았고, 최 원장은 율곡 이이를 들었다. 최 원장은 “이율곡이 과거시험에 9번 장원을 해서 훌륭한 것이 아니라, 임진왜란을 예측해 10만 양병설을 주장한 혜안이나 특히 그때 이미 아이들 교육에 신경을 써 <격몽요결>을 짓고, ‘나는 동인도 서인도 아니다’라며 붕당에 맞선 점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성균관은 앞으로 성현의 제사를 모시는 문묘에 대한 종합기록서인 <태학지>를 비롯해 다양한 경전과 예서도 출간할 계획이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