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반려동물

멍냥이는 하루 몇 끼를 먹는 게 좋을까요?

등록 2022-12-13 13:00수정 2022-12-13 17:36

[애니멀피플] 애피레터 맛보기: 혁호’s 반려랩
통상 동물병원에서는 다 자란 개와 고양이에게 하루 2번 이상 급여를 권한다. 한편 미국의 최신 연구에서는 하루 1끼만 먹은 성견이 더 오래 살았다는 연구가 발표되기도 했다. 게티이미지뱅크
통상 동물병원에서는 다 자란 개와 고양이에게 하루 2번 이상 급여를 권한다. 한편 미국의 최신 연구에서는 하루 1끼만 먹은 성견이 더 오래 살았다는 연구가 발표되기도 했다. 게티이미지뱅크

말 못하는 작은 가족 반려동물, 어떻게 하면 잘 보살필 수 있을까요. 애니멀피플의 주간 뉴스레터를 담당하는 댕기자(견종 비글·6살)가 미국 캘리포니아주와 국내 여러 동물병원에서 멍냥이를 만나온 권혁호 수의사에게 반려동물의 건강, 생활, 영양에 대해 묻습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반려동물 버전 ‘혁호스 애피랩’은 애피레터에서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애피레터 구독신청하기 : 검색창에 ‘댕기자의 애피레터’를 입력하세요!

Q 댕기자가 묻습니다

쌤, 요즘 댕기자의 큰 고민은 바로 다이어트입니닷. 슬개골과 체중의 상관관계 이야기 하실 때도 뜨끔했는뎁쇼. 사실 눈 앞에 보이면 입에 넣고 보는 것이 댕댕이의 본능! 집사가 잘 제어해주긴 하지만 멍냥이 건강에 좋은 급여 꿀팁이 있다면 대방출 부탁드립니닷.

A 권 수의사가 답합니다

동물병원 수의사 선생님들이 통상 권장하는 식사 횟수는 ‘하루 2번 이상’입니다. 새끼의 경우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와 에너지가 많기 때문에 하루에 4~5번 이상으로 횟수를 늘려서 급여하라고 하고 있구요.

이렇게 하루에 2번 이상 급여를 권장하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어요. 첫째, 하루 1회 급여로는 필요한 영양소 권장량을 다 섭취하기 힘들 수 있어요. 두번에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는 거죠. 멍냥이들도 기초대사 이외에 산책이나 사냥놀이를 하려면 충분한 에너지가 필요하잖아요.

둘째는 식사 시간이 정해져 있으면 멍냥이에게 규칙적인 일과가 생겨 생활리듬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줘요. 멍냥이들은 시계도 못 보지만 식사 시간은 귀신 같이 잘 알잖아요. 규칙적인 생활 습관은 정서적 안정뿐 아니라 면역력 향상 등 육체적 건강에도 큰 영향을 미치거든요.

이와는 상반되는 의견도 있답니다. 최근 미국의 여러 대학 연구진이 공동연구 중인 ‘강아지 노화 프로젝트’(Dog Aging Project)에서 흥미로운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다 성장한 반려견의 경우 하루 1끼만 먹는 강아지들의 더 오래 살았다는 거였어요.

약 2만4000마리의 댕댕이들의 식사 횟수와 수명을 연구한 것인데요. 하루 1끼만 먹은 강아지들이 소화기계, 근골격계, 췌장과 간담도계와 구강을 비롯한 전반적인 건강 문제를 가질 확률이 낮았으며 인지기능도 더 또렷했다고 해요. 사람처럼 ‘간헐적 단식’이 도움이 된다는 거였죠.

왜 급여 횟수에 따라 수명이 달라졌는지 분석해보면, 급여량이 중요한 요인이었어요. 하루에 1번 급여를 하게 되면 2번 주는 것보다 칼로리를 과잉 섭취할 가능성이 낮아져요. 그렇다면 우리 집 멍냥이는 하루에 몇 칼로리나 소비할까요? 지금부터 알기 쉬운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애피레터에서 전체 보기 https://bit.ly/3sT9h1a

권혁호 수의사 hyeokhoeq@gmail.com,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