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인간과동물

인간은 왜 낮에 일하고 밤에 잘까?

등록 2021-11-02 12:59수정 2021-11-28 15:58

[애니멀피플] 애피레터 맛보기: 홍섭’s 애피랩

자연과 동물의 세계는 알면 알수록 신비롭고 경이롭습니다. 호주엔 어째서 유대류가 많이 살까요. 동물들의 수명은 왜 제각각일까요. 문어, 오징어, 낙지가 똑똑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애니멀피플의 주간 뉴스레터를 담당하는 댕기자(견종 비글·5살)가 36년차 환경전문기자 조홍섭 선임기자에게 ‘깨알 질문’을 던집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동물 버전 ‘홍섭스 애피랩’ 전문은 애피레터에서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애피레터 구독신청하기

Q 댕기자가 묻습니다

선배님, 이제 ‘위드 코로나’ 한다는데 걱정이 있습니다. 댕기자, 이실직고 하자면 재택하며 늦잠을 즐겼는데 문제는 출근 부담 없으니 아예 밤낮이 바뀌어 버린 것이었슴다. 그러고 나니 그동안 왜 우린 낮에 일하고 밤에 잤나 싶었습죠. 야행성 동물도 있잖슴까. 왜 이런 동물은 밤에 활동하고, 낮에 자는 겁니까.

A 조기자가 답합니다

흥미로운 현상이야, 학계에 보고해야겠네. 포유류는 대표적으로 야행성에서 주행성으로 진화한 동물인데 이제 코로나 때문에 야행성으로 돌아간다? 요즘 아이들은 공룡을 아주 좋아하지만, 인류의 조상인 최초의 포유류는 수천만 년 동안 공룡의 억압(?) 속에 살았어. 낮 동안은 공룡의 눈을 피해 땅굴이나 바위틈에 숨어있다가 공룡이 잠들면 사냥 찌꺼기를 챙기기 위해 움직이던 가련한 신세였지.

그러다가 6600만년 전 해방이 됐지. 소행성이 떨어져 2억5000만년을 이어온 공룡시대가 끝난 거야. 포유류가 밝은 햇빛 아래로 나왔어. 그런데 다 그런 건 아니래. 쥐나 멧토끼처럼 많은 포유류가 아직 야행성이잖아. 우리 몸에도 당시 무서웠던 삶의 흔적이 남아있어.
☞ 애피레터에서 전체보기 https://bit.ly/3CldIo8

조홍섭 김지숙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웹툰] 우린 계속 걷자 1.

[웹툰] 우린 계속 걷자

소·돼지 도살 직전까지 이런 고통 줘야 하나?…“당장 개선해야” 2.

소·돼지 도살 직전까지 이런 고통 줘야 하나?…“당장 개선해야”

반려동물 방광암 예방, 방향제도 조심…먼지 제거 청소 열심히 3.

반려동물 방광암 예방, 방향제도 조심…먼지 제거 청소 열심히

[웹툰] 세수는 하고 산책하는 거야? 4.

[웹툰] 세수는 하고 산책하는 거야?

[웹툰] 귀여움이 세상을 구한다 5.

[웹툰] 귀여움이 세상을 구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