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인간과동물

인간은 왜 낮에 일하고 밤에 잘까?

등록 2021-11-02 12:59수정 2021-11-28 15:58

[애니멀피플] 애피레터 맛보기: 홍섭’s 애피랩

자연과 동물의 세계는 알면 알수록 신비롭고 경이롭습니다. 호주엔 어째서 유대류가 많이 살까요. 동물들의 수명은 왜 제각각일까요. 문어, 오징어, 낙지가 똑똑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애니멀피플의 주간 뉴스레터를 담당하는 댕기자(견종 비글·5살)가 36년차 환경전문기자 조홍섭 선임기자에게 ‘깨알 질문’을 던집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동물 버전 ‘홍섭스 애피랩’ 전문은 애피레터에서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애피레터 구독신청하기

Q 댕기자가 묻습니다

선배님, 이제 ‘위드 코로나’ 한다는데 걱정이 있습니다. 댕기자, 이실직고 하자면 재택하며 늦잠을 즐겼는데 문제는 출근 부담 없으니 아예 밤낮이 바뀌어 버린 것이었슴다. 그러고 나니 그동안 왜 우린 낮에 일하고 밤에 잤나 싶었습죠. 야행성 동물도 있잖슴까. 왜 이런 동물은 밤에 활동하고, 낮에 자는 겁니까.

A 조기자가 답합니다

흥미로운 현상이야, 학계에 보고해야겠네. 포유류는 대표적으로 야행성에서 주행성으로 진화한 동물인데 이제 코로나 때문에 야행성으로 돌아간다? 요즘 아이들은 공룡을 아주 좋아하지만, 인류의 조상인 최초의 포유류는 수천만 년 동안 공룡의 억압(?) 속에 살았어. 낮 동안은 공룡의 눈을 피해 땅굴이나 바위틈에 숨어있다가 공룡이 잠들면 사냥 찌꺼기를 챙기기 위해 움직이던 가련한 신세였지.

그러다가 6600만년 전 해방이 됐지. 소행성이 떨어져 2억5000만년을 이어온 공룡시대가 끝난 거야. 포유류가 밝은 햇빛 아래로 나왔어. 그런데 다 그런 건 아니래. 쥐나 멧토끼처럼 많은 포유류가 아직 야행성이잖아. 우리 몸에도 당시 무서웠던 삶의 흔적이 남아있어.
☞ 애피레터에서 전체보기 https://bit.ly/3CldIo8

조홍섭 김지숙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영리하고 귀여운 범고래의 별명이 ‘킬러 고래’인 이유 1.

영리하고 귀여운 범고래의 별명이 ‘킬러 고래’인 이유

74살 최고령 새 ‘위즈덤’ 또 알 낳았다…형제만 서른 2.

74살 최고령 새 ‘위즈덤’ 또 알 낳았다…형제만 서른

다양해야 강하다, 생물도 언어도 3.

다양해야 강하다, 생물도 언어도

수컷과 짝짓기 한 임금펭귄, 4년 동안 알 안낳아 보니 ‘수컷’ 4.

수컷과 짝짓기 한 임금펭귄, 4년 동안 알 안낳아 보니 ‘수컷’

1200번의 ‘동물 이웃’ 사연…“개별 동물의 삶 전하고 싶었어” 5.

1200번의 ‘동물 이웃’ 사연…“개별 동물의 삶 전하고 싶었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