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난 7월 코로나19 확진자 일별 현황. 서울시 누리집 갈무리
지난 7월 전국 대부분 지역을 강타한 코로나19 ‘4차 유행’에서 인구 대비 가장 많은 확진자를 쏟아낸 곳은 서울로 나타났다. 비수도권 지역에선 부산·경남, 대전 등지에서 7월 한달 확진자가 해당 지역 전체 누적 확진자의 30%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상황이 심각했다. 4차 유행은 현재 진행형이다.
1일 방역당국 자료를 보면, 지난 7월 전국에서 4만1240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 지난해~올해 전체 누적 확진자(19만9787명)의 20.6%로, 국내 코로나19 감염자 5명 중 1명은 지난달 확진된 셈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만4372명으로 가장 많았다. 십만인율(10만명당 감염자 수)도 150명으로 가장 높았다. 하루 평균 확진자 수는 464명으로, 지난해 1월25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누적 확진자(6만4832명)의 22.1%가 지난달 확진받은 경우였다.
경기도도 사정은 비슷하다. 지난 한달 1만1484명이 감염돼, 전체 누적 확진자(5만6187명) 대비 비중이 20.4%에 이르렀다. 지난해 12월5일~올해 1월4일 3차 유행(7688명) 때보다 2배가량 많다. 십만인율은 85.2명으로 서울보다 크게 낮았지만, 서울·경기를 제외한 전국 평균(53.4명)보다는 훨씬 높았다.
인천(2348명)까지 포함하면 지난달 수도권 확진자(2만9204명) 비중은 68.4%에 이른다. 수도권에서는 거리두기 최고 수위인 4단계가 4주째 시행되고 있어(옹진·강화 제외) 오후 6시 이전에는 ‘5인 이상’, 그 이후에는 ‘3인 이상’ 사적모임이 금지되고 있다.
수도권 이외 지역 가운데서는 부산·경남지역 상황이 심각했다. 부산에서는 지금까지 나온 전체 누적 확진자 8260명 가운데 2029명(24.6%)이, 경남에서는 전체 누적 7244명 가운데 2032명(28.1%)이 지난달 확진 판정을 받았다. 부산과 경남 모두 7월에 하루 평균 65.5명씩 확진됐는데, 이는 나머지 기간 평균보다 5배가량 많은 수치다.
부산과 경남 모두 지난달 하순으로 가면서 상황이 심각해졌다. 부산 확진자는 13일 60명대, 18일 70명대, 20일 90명대, 21일 100명대에 들어서는 등 중순 이후 가파른 확산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22일부터 31일까지 최근 열흘 동안 하루 평균 확진자는 89.2명에 이르렀다. 경남에서도 지난달 22~31일 최근 열흘 동안 하루 평균 96.1명이 확진돼 위기감이 크다. 김해시와 함양군에 이어 함안군도 2일부터 거리두기 단계가 4단계로 격상된다. 권양근 경남도 복지보건국장은 “당분간 꼭 필요한 경제활동을 제외하고는 모든 사적모임을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지난 27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로 격상한 대전에서는 7월 한달 동안 1591명, 하루 평균 51.3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월 첫 확진자가 나온 뒤 대전에서 발생한 누적 확진자 4258명의 37.4%에 해당한다. 시기별로는 △초순(1~10일) 282명 △중순(11~20일) 513명 △하순(21~31일) 796명으로 역시나 하순으로 갈수록 상황이 악화됐다.
대전시는 확진자가 많이 늘어난 원인으로 전염성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 시설을 중심으로 잇따른 소규모 집단감염, 활동이 왕성한 20~30대 무증상 확진자의 증가 등을 꼽았다. 7월1~20일 대전의 확진자 795명 가운데 20~30대가 36.2%(288명)를 차지해 40~50대(207명, 26.0%)와 10대 미만~10대(206명, 25.9%)를 크게 앞질렀다.
대전시 관계자는 “익명성이 보장되고 기다리지 않고 바로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임시선별진료소를 찾는 시민이 많은데 임시선별진료소 검사 결과는 다음날에 나온다”며 “검사받은 날과 결과가 통보되는 날 사이의 하루 시차 때문에 차단 방역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사례도 있다. 임시선별진료소에서 검사받은 시민은 결과가 나올 때까지 꼭 격리 원칙과 방역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하 최상원 송인걸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