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인천시장이 지난 7일 인천종합터미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방지를 위한 다중이용시설 방역 및 대응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여파로 ‘바닷길’과 ‘하늘길’이 모두 막히면서 인천지역 관광이 큰 타격을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 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갈등으로 얼어붙은 단체관광이 올해 초부터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할 무렵 나타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지역 관광사업이 장기적으로 침체되는 모양새다.
인천시는 11일 시청에서 ‘관광분야 민·관 대책회의’를 열었다. 한국관광공사 경인지사, 인천관광공사, 인천관광협의회, 한국외식업 중앙회 인천지회, 인천호텔협의회, 엔타스 면세점과 주요 여행사 대표 등이 참석한 이날 회의에서 관광분야 피해 현황을 점검했다.
먼저, 인천공항을 오가는 비행기편 100개 노선 중 41개 노선이 중단되고, 24개 노선이 감축됐다. 카페리 10개 노선 중 4개 노선은 운항이 중단됐고, 나머지 6개 노선은 화물만 수송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인천의 대표적 컨벤션시설인 송도 컨벤시아는 지난달 국내에서 처음으로 신종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30건(예약 인원 1만3703명)의 예약이 취소됐다. 16건(18만460명)은 잠정 보류됐다.
월미도 등 관광유람선업은 관광객이 없어 주중 영업을 중단했고, 지역 내 622곳의 여행사 가운데 상당수는 무급휴가에 들어갔다. 160곳의 숙박시설도 중국 단체 관광객 예약 취소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강화 소창체험관 등 일부 관광시설은 지난달 29일부터 외국인 관광객 입장을 금지했다. 시는 이번 신종 코로나 여파로 2015년 6월 메르스 확산 때처럼 주요관광지 방문객이 60~80% 감소하고, 매출액도 40~70%가량 줄어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외식업계 종사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전체 이용객이 절반으로 줄면서 매출액도 50% 이상 감소했다. 외국인 운영 음식점이나 중국인 종사자(943명)가 일하는 음식점 기피 현상은 더욱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각 분야 대표들은 지역 관광분야의 피해 우려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며 시와 정부 차원의 관광업계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시는 외국인 이용이 많은 숙박업소 109곳에 마스크 6만개, 손소독제 1150개를 우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민·관 전문가로 구성된 관광대책반을 만들어 취소·연기한 단체관광 및 기업회의를 하반기 다시 유치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관광진흥개발기금 특별융자 조기 지원, 경영안정자금 상환유예 등을 중앙정부에 건의하는 등 관광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고, 지역경제가 빠르게 안정화 되도록 필요한 조처를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