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탑승구 체온 검사.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공항 여객터미널 입구부터 항공기 탑승까지 3차례 발열 검사를 하는 3단계 방역망이 5일부터 인천국제공항에 시범 도입됐다.
국토교통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5일부터 인천공항의 여객 출국 과정에서 3단계 방역망을 시범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인 입국제한 조치 확대 등에 대응하기 위해 이날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결정됐으며, 관계기관 협의 등을 거쳐 9일 오전 9시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본격 운영에 앞서 이날부터 인천공항을 통해 출국하는 여객을 대상으로 터미널 진입(8곳), 3층 출발층(5곳), 탑승게이트 등 3번에 걸쳐 열화상카메라와 체온계를 이용한 발열 검사를 한다. 공항 터미널 출입구에서 열화상 카메라로 1차 발열 검사를 해 체온이 37.5도 이상인 경우 공항 내 설치된 검역조사실에서 기초역학조사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안내한다.
5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출발층에서 이용객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우려 등으로 마스크,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출발층 지역에서는 보안 구역에 들어가기 전에 한 번 더 열화상 카메라로 발열 검사를 하고, 역시 37.5도 이상이면 상대국 요청에 따라 발열자에 대한 입국제한이 있는 노선(미국은 38도 이상 탑승 거부)의 경우 항공사에 인계해 발권 취소 등을 안내한다.
마지막 3단계로 항공기 탑승구에서 미국과 중국, 아랍에미리트(UAE) 등 상대국의 요청이 있는 노선의 경우 항공사를 중심으로 발열 검사를 하며, 발열이 확인된 승객은 탑승을 못 할 수 있다.
구본환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대한민국의 관문인 인천공항을 ‘코로나19 청정 공항’으로 구축해 출국과 입국 모든 과정에서 안전한 공항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