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집단감염 발생 등으로 시청사가 폐쇄될 경우에 대비해 비상대응 계획을 수립했다고 15일 밝혔다. 최근 정부 중앙부처가 밀집한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해 청사 폐쇄 조처가 내려지는 등 행정 공백을 우려해 미리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시는 구월동 시청 본청 청사에 대해 건물별 폐쇄, 전체 폐쇄를 가정해 대응매뉴얼을 정비했다. 상황 발생 때 부서별 현원의 20%를 필수요원으로 지정해 청사 폐쇄 즉시 대체업무 공간으로 이동해 행정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했다.
시는 컴퓨터 및 행정전산망 사용이 가능한 대체 업무 공간을 보유한 인재개발원, 여성복지관, 서부여성회관, 여성의광장, 경제청, 상수도사업본부 등의 사업소 전산교육장을 지정했다. 비상 상황 발생 때 시 홈페이지 등을 통해 시민들에게 민원업무 관련 안내를 즉시 시행할 예정이다. 시는 시 산하기관과 군·구에도 비상 상황 발생에 대비한 청사 비상대응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라고 지시했다.
시는 현재 열화상 카메라 운영, 혼잡시간대 피한 출퇴근제 시행, 청사 자체 방역 소독, 구내식당 배식 개선 등의 코로나19 예방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박남춘 시장은 “공직자가 코로나19에 감염되거나 감염된 시민의 청사 출입 때문에 시 청사가 폐쇄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300만 시민들에게 돌아간다”며 “여러 상황을 가정한 비상대응 계획을 마련해 행정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