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부터 55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인천시 계양구 한 요양병원에서 방역 당국 관계자들이 소독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천시는 5~6일 이틀간 감염 위험이 큰 공동생활시설인 인천구치소의 수용자·직원 등 2400여명을 대상으로 선제 코로나19 전수검사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서울 동부구치소 사례처럼 공동생활 여파로 집단감염 확산이 우려됨에 따라 선제 대응 차원에서 내린 방역 조처로, 인천시가 법무부에 요청해 이뤄진 것이다. 시는 이날부터 6개 팀, 12명으로 구성된 검체 인력을 동원해 검사 중이다.
시는 또 집단감염 고위험 시설인 요양병원·요양원 등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와 입소자에 대해서도 전수검사를 벌이고 있다. 요양병원 의료인과 간병인을 대상으로 마스크뿐 아니라 얼굴 가림막(페이스 쉴드), 장갑, 수술복을 의무적으로 착용하도록 방역조처를 강화했다.
이와 함께 취약시설 보호를 위한 공동생활시설 등에 대해서도 검사 대상을 확대했다. 대상시설은 사회복지시설을 비롯해 피해 보호시설, 새터민 거주시설 등이며, 검사는 찾아가는 이동방역검진 형태로 진행된다. 외국인 집단주거 밀집지역 등 의료 및 방역사각지대에 대한 이동 선별검사소 운영하고 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코로나19 고위험군이 생활하는 요양시설의 경우 집단감염이 터지면 중증환자가 급격히 증가해 우리 의료체계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어 더욱 강화된 방역조처가 불가피하다”며 “취약한 시설을 선제로 발굴·검사해 코로나19 감염 고리를 끊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