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강제징용 피해자 지원단체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회원들이 광주광역시의회 시민소통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쓰비시 자산 특별현금화명령에 대한 대법원의 신속한 판결을 촉구하고 있다.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제공
강제징용 피해자 지원단체가 피해자 대신 일본을 언급한 윤석열 대통령의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비판했다.
(사)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시민모임)은 15일 성명을 내어 “현재 한일 관계는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가 가장 큰 현안이지만 윤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는 피해자 문제를 언급하지 않은 맹탕이었다”고 지적했다.
시민모임은 “윤 대통령은 오히려 일본을 ‘세계시민의 자유를 위협하는 도전에 맞서 함께 힘을 합쳐 나아가야 하는 이웃’이라고 추켜세웠다”며 “우회적으로 ‘한일관계가 보편적 가치를 기반으로 양국의 미래와 시대적 사명을 향해 나아갈 때 과거사 문제도 제대로 해결될 수 있다’고 언급했지만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인권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 윤 대통령이 강조한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에 대해서 “당시 오부치 총리는 일본의 과오를 인정하며 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사죄를 공식 합의 문서에 명시했다”며 “지금처럼 가해자 일본의 역사적 책임을 눈감은 채 무작정 미래로 나아가자고 했던 것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윤 대통령은 이날 경축사에서 ‘법치’를 3회 강조했다”며 “한국 최고 법원인 대법원 판결을 4년 동안 무시하는 지금의 한일관계가 ‘법치’이고, ‘보편적 가치’인지 답해 달라”고 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열린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해 ‘위대한 국민, 되찾은 자유, 새로운 도약’을 주제로 한 경축사를 발표하며 자유(33번), 독립 18번), 국민(15번), 세계(12번) 등을 언급했다.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근로정신대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해 2009년 창립한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 하는 시민모임’ 후신으로, 전범기업과의 법정 투쟁 지원, 피해역사 기록, 청소년 교육 등을 하고 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