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방 순례/숨어있는 책
헌책방 5년. 서울 신촌에 있는 ‘숨어있는 책’(주인:노동환, 02-333-1041)한테는 길다. 12평 가게에 17평 아랫방(지하)이 추가됐다. 또 책창고를 16평에서 30평으로 옮긴다니 겉보기보다 책이 엄청나게 늘었다. 그만큼 손님이 늘고 찾는 책도 는 것이다. 주인은 물밑 오리의 발처럼 쉴 틈이 없다.
“이럴 줄은 몰랐어요. 집사람 얼굴 보는 시간조차 많지 않아요.”
자신의 장서를 내놓으며 헌책방을 꾸린 게 1999년 11월. 주인 노동환씨는 책방일을 재밌어 하면서도 ‘정말 이래도 되나’ 하는 고민에 빠졌다. 조그맣지만 알찬 책사랑방이 되고자 했던 원래의 꿈과 손님들의 어떤 요구에도 응할 수 있는 거리의 도서관이 되고 싶은 욕망이 충돌하고 있다.
손님들은 만족스럽다. 인사동에 ‘통문관’이 있다면 신촌에는 ‘숨어있는 책’이 있다는 것. 사람들은 수년째 고정 출입하고, 근처에서 약속이라도 있으면 안팎시간에 그곳을 들른다. 주인의 공교한 눈으로 뽑아온 책들은 고스란히 손님들에게 넘겨져 그들의 마음을 살찌우고 넘쳐 장서를 풍요롭게 한다.
고전하는 여느 책방들과 달리 책의 출입이 잦고 매출이 꾸준히 늘어나는 것은 주인의 부지런함 외에 다른 원인이 있지 않고야 가능하겠는가.
그는 책을 사는 것을 즐긴다. 그 순간만은 자신이 헌책방 순례자였을 때 자신에게 읽혀 마음과 머리의 빈 자리를 채우고자 했던 마음으로 돌아간다. 하여, 자신의 선택이 손님의 손길과 만나는 순간 더없는 희열을 맛본다. 그냥 재미 있겠네 했던 책에 무척 즐거워하는 손님을 만나면 한수 배웠다는 기분이다. 그것으로 결코 채울 수 없는 욕망은 책을 집으로 가져가는 것으로 드러난다. 그렇게 해서 한권 한권 1천여권이다. 처음 책방을 꾸릴 때처럼 결국엔 다시 내올 터이지만.
앞으로 헌책방 시장은 저가의 일반서적과 고가의 절판·희귀본으로 이원화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일부 젊은 책방과 온라인 고서점을 중심으로 그런 경향이 드러나고 있다. ‘숨어있는 책’은 아직은 그럴 생각이 없어 고가일 수 있는 책들이 최소한의 이문을 붙이는 선에서 가격이 책정된다. 책을 수집하는 사람들한테는 좋은 곳이다. 노씨는 결국 숨어있는 책도 그런 추세에서 예외일 수 없을 거라면서도 자신의 성격으로 미뤄 뒤꽁무니에 붙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새 책 시장이 활성화 되어야지요.” 아직은 책이 팔리는 속도보다 쌓이는 양이 많지만 양에 비해 질을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대로 가면 2차책방인 이곳도 머잖아 고갈사태를 피부로 느낄 것이라며 헌책방 주인은 새책시장 걱정이다. 누가 전직 출판사 편집장 아니랄까 봐. 한 손님이 이틀 전에 보아 두었다던 명·청 역사서가 어디 있느냐고 물어왔다. “그 자리에 없으면 팔린 겁니다.” 그가 빈 손으로 나가고 잠시 뒤에 다른 손님이 그 책들을 그러안고 계산대로 왔다. 주인장은 “밖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파악이 잘 안되는 경우가 있다”며 겸연쩍게 웃었다. 글·사진 임종업 기자 blitz@hani.co.kr
앞으로 헌책방 시장은 저가의 일반서적과 고가의 절판·희귀본으로 이원화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일부 젊은 책방과 온라인 고서점을 중심으로 그런 경향이 드러나고 있다. ‘숨어있는 책’은 아직은 그럴 생각이 없어 고가일 수 있는 책들이 최소한의 이문을 붙이는 선에서 가격이 책정된다. 책을 수집하는 사람들한테는 좋은 곳이다. 노씨는 결국 숨어있는 책도 그런 추세에서 예외일 수 없을 거라면서도 자신의 성격으로 미뤄 뒤꽁무니에 붙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새 책 시장이 활성화 되어야지요.” 아직은 책이 팔리는 속도보다 쌓이는 양이 많지만 양에 비해 질을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대로 가면 2차책방인 이곳도 머잖아 고갈사태를 피부로 느낄 것이라며 헌책방 주인은 새책시장 걱정이다. 누가 전직 출판사 편집장 아니랄까 봐. 한 손님이 이틀 전에 보아 두었다던 명·청 역사서가 어디 있느냐고 물어왔다. “그 자리에 없으면 팔린 겁니다.” 그가 빈 손으로 나가고 잠시 뒤에 다른 손님이 그 책들을 그러안고 계산대로 왔다. 주인장은 “밖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파악이 잘 안되는 경우가 있다”며 겸연쩍게 웃었다. 글·사진 임종업 기자 blitz@hani.co.kr
연재헌책방 순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