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유리문 책장안에 귀중본 한 꾸리

등록 2005-06-09 14:52수정 2006-02-06 20:33


헌책방 순례/우리서점

찾아가기론 지하철 4호선 숙대입구역에서 가깝고, 어림잡기는 용산 미군기지에 궁둥이를 대고 있다. 우리서점(011-346-1589) 입구 계단은 건물의 나이만큼이나 닳았다.

느른한 오후 혼자서 커피를 타던 주인 남순종(65)씨는 동무를 만나 반가운 듯 한잔을 더 탔다.

18평 2만여권의 책이 가득한데 여느 책방하고는 조금 다르다. 반듯한 책꽂이에 분야별로 깔끔하게 정리돼 있어 잔손이 많이 간 흔적이 역력하다. 인문사회 특히 문학쪽 책이 많고 최근에 나온 책들도 꽤 많다.

“원래 출판사에 딸린 서고였는데 7개월 전에 책방으로 바꿨습니다.”

조금 다른 표정이 바로 그런 탓이다. 글벗사. 어린이책과 문학 관련 책 1천여종을 냈다. <건국대통령 이승만>(이종구 지음)이 최근작이다. 출판사 명패가 달린 작은 방 컴퓨터는 먼지를 썼고 아들이 업데이트한다는 사이트(gulbutsa.co.kr)는 한산하다. 구제금융 사태가 터지면서 시난고난 출판사는 시들고, 급기야 5~6명 직원을 모두 정리하고 집을 팔아 전세로 옮기며 빚잔치를 했다. 출판사 이름을 유지한채 일감이 들어오면 아르바이트를 써서 책을 낼 따름이다.

책이 좋아서 책동네와 40년 인연. 출판사가 잘 나갈 때는 하루에 책 5권을 낸 적도 있고, 종로 6가 대학천시장에서 신간도매를 하기도 했다. 청계천 평화시장에서 헌책방을, 오산고교 앞에서 새책방도 해 보았다.


“출판사가 안될 때는 책방을 겸했지요.”

책을 낼 때 참고자료로 쓰려고 모아둔 것과 책동네의 지인들이 가져온 책들이 지금 매장에 나앉은 상품들이다. 출판사로는 돈을 만지기 어려웠는데, 요즘은 하루매상 7만~8만원을 올린다. 큰 돈은 아니지만 그래도 문인 친구하고 점심은 먹을 수 있다고 말했다.

놀아도 이곳에서 놀고 일을 해도 이곳에서 일을 한다는 남씨는 차라리 서점이 속 편하단다. 매장 분량만큼 쌓였다는 집안의 책도 이 참에 끌어내와 쏠쏠한 책방으로 만들 계획이다. 특별히 보여주는, 유리문 달린 책장에 귀중본들이 꽂혔다. 값만 맞으면 판다는 샘플들이다. <문학개론>(김기림, 문우인서관, 1946), <시집 호롱>(서창수, 청구출판사, 1951), <푸른 별>(김용호, 남광출판사, 1952), <조선문자 급 어학사>(김윤경, 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38) 등 꾸리꾸리하다.

경기에 따라 떠올랐다 잠겼다를 거듭해온 책방. 남씨는 다시 책을 활발히 낼 꿈을 꾼다. 문예 계간지 <문예와 비평>를 11년째 거르지않고 내 온 것도 그런 연유다. 하지만 그것이 단지 꿈으로 그칠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갖고 있다. 구제금융의 그늘은 그만큼 깊고, 출판동네의 세월은 빨라 늙은 그가 끼어들 곁을 주지 않는다.

임종업 기자 blitz@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