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아름다운 석양의 대통령을 위하여

등록 2016-12-09 19:52수정 2016-12-09 20:12

[토요판] 신형철의 격주시화(隔週詩話)
시인 신동엽의 평등, 소외, 중립에 대한 생각
산문시 1  신동엽

스칸디나비아라던가 뭐라구 하는 고장에서는 아름다운 석양 대통령이라고 하는 직업을 가진 아저씨가 꽃리본 단 딸아이의 손 이끌고 백화점 거리 칫솔 사러 나오신단다. 탄광 퇴근하는 광부들의 작업복 뒷주머니마다엔 기름 묻은 책 하이데거 러셀 헤밍웨이 장자(莊子) 휴가여행 떠나는 국무총리 서울역 삼등대합실 매표구 앞을 뙤약볕 흡쓰며 줄지어 서 있을 때 그걸 본 서울역장 기쁘시겠소라는 인사 한마디 남길 뿐 평화스러이 자기 사무실 문 열고 들어가더란다. 남해에서 북강까지 넘실대는 물결 동해에서 서해까지 팔랑대는 꽃밭 땅에서 하늘로 치솟는 무지갯빛 분수 이름은 잊었지만 뭐라군가 불리우는 그 중립국에선 하나에서 백까지가 다 대학 나온 농민들 트럭을 두대씩이나 가지고 대리석 별장에서 산다지만 대통령 이름은 잘 몰라도 새 이름 꽃 이름 지휘자 이름 극작가 이름은 훤하더란다. 애당초 어느 쪽 패거리에도 총 쏘는 야만엔 가담치 않기로 작정한 그 지성(知性) 그래서 어린이들은 사람 죽이는 시늉을 아니하고도 아름다운 놀이 꽃동산처럼 풍요로운 나라, 억만금을 준대도 싫었다 자기네 포도밭은 사람 상처 내는 미사일기지도 탱크기지도 들어올 수 없소 끝끝내 사나이나라 배짱 지킨 국민들, 반도의 달밤 무너진 성터 가의 입맞춤이며 푸짐한 타작 소리 춤 사색(思索)뿐 하늘로 가는 길가엔 황토빛 노을 물든 석양 대통령이라고 하는 직함을 가진 신사가 자전거 꽁무니에 막걸리병을 싣고 삼십리 시골길 시인의 집을 놀러 가더란다.

*<월간문학> 1968년 11월 창간호에 발표

탄핵 표결 결과가 나오기 전에 이 시를 골라 두었는데 설사 부결됐다 하더라도 다른 시로 교체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가결이건 부결이건 당분간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화두는 ‘대통령’일 수밖에 없을 테니까. “스칸디나비아 반도지역의 북유럽 사회민주주의를 작은 풍경화 한 편으로 한국 사회에 제시”(김응교)한 시라고 해도 좋고 그냥 유토피아에 대한 몽상이라고 해도 좋다. 노무현 대통령 서거 이후에 이명박 박근혜 두 대통령의 체제를 경험하는 동안 더 자주 거론됐고 또 마주치게 된 시이기도 하다. ‘우리가 꿈꾸는 대통령’을 말할 때 인용하기 좋은 시이고 실제로도 그래왔지만 그렇게 한정되고 말 작품은 아닌 것 같다.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껍데기는 가라’로만 기억되는 것 같고, 언젠가부터 그의 시를 고리타분하다고 느끼는 이들도 많아진 느낌이다. 그를 일러 “50년대에 모더니즘의 해독(害毒)을 너무 안 받은 사람 중의 한 사람”이라면서 그가 행여 “쇼비니즘”으로 흐르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한 사람은 김수영인데 이런 시선은 예전부터 꾸준히 존재했던 터다. ‘껍데기는 가라’만 해도 거기서 ‘배타적 순혈주의’와 ‘낭만적 농본주의’의 위험을 감지하는 독법이 틀렸다고 하기도 어려울 것이다(근래의 사례로 오성호, <낯익은 시, 낯설게 읽기> 참조). 이런 비판에는 유념하되 위의 시에서 지금도 여전히 의미 있는 논점을 세 가지 정도 추려보고 싶다.

가장 먼저 “아름다운 석양 대통령이라고 하는 직업을 가진 아저씨”에 대해서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구절의 아름다움만으로 이 시가 끝까지 버텨나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통령이라고 하는 직업”이라는 심상한 표현에는 그 직업이 세상의 수많은 직업들 중 하나일 뿐이라는 담백한 긍정이 담겨 있다. 세상의 중요한 사람들 중에는 ‘의무’와 ‘권력’을 구별하지 못하는 이들이 많지만, 그들에게 많은 것은 의무이지 권력이 아니어야 한다. 이 시에서 국민이 대통령에게 허락한 것은 “아름다운 석양”을 등 뒤에 두고 걸으면서 ‘석양의 대통령’이라 불릴 수 있는 권력뿐이다. 그러나 그것은 얼마나 큰 영광인가.

그러니까 이 시의 첫 번째 논점은 당연히 ‘평등’이다. 다시 읽은 이 시는 한창훈의 소설 ‘그 나라로 간 사람들’(<행복이라는 말이 없는 나라>)을 떠올리게 했다. ‘그 나라’의 사람들이 모여 법을 만들 때 그들은 법이 아주 단순하기를 바랐다. 그중 누군가 바다로부터 법철학을 배운다. 나날의 파도는 다르지만 하루의 파도는 같다는 것. “그제는 한 팔 정도의 파도가 쳤는데 모두 그 높이였어요. 어제는 가문비나무 높이만큼 치솟았는데 모든 파도가 그랬어요.” 다른 사람들이 기꺼이 동의한다. “파도처럼 하면 되겠군.” 그리하여 그들이 만든 법조문은 단 한 문장이다. “어느 누구도 어느 누구보다 높지 않다.” 이 법으로 그들이 내리지 못한 결정은 하나도 없었다.

두 번째로 밑줄 치고 싶은 대목은 광부들이 “하이데거 러셀 헤밍웨이 장자(莊子)” 등을 주머니에 꽂은 채 퇴근하는 장면이다. 광산에서 그 책을 읽었다는 뜻이다. 농민들 얘기도 해야 할 텐데, 그들이 트럭을 두 대씩 소유하고 대리석 별장에 산다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대통령 이름은 잘 몰라도 새 이름 꽃 이름 지휘자 이름 극작가 이름”은 잘 안다는 것이다. 자연과 예술에 관심을 가질 수 있고 나름의 취향을 함양할 수 있는 여유가 주어진다는 것. 광부와 농민이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을 써야 한다고 부르짖던 시대도 있었지만, 진정한 유토피아는, 이처럼 광부와 농민이 이해 못할 작품이 없을 만큼 그들에게 교육과 시간이 제공되는 사회다.

그러니까 이 시의 두 번째 논점은 ‘소외’다. 이렇게 말하고 나니 ‘사회적 분업’으로 인한 소외가 사라진 사회를 꿈꾸었던 이들의 저 유명한 문장이 다시 떠오른다. “아무도 배타적인 영역을 갖지 않고 각자가 원하는 어떤 분야에서나 스스로를 도야시킬 수 있는 공산주의사회에서는 사회가 전반적인 생산을 조절하기 때문에 사냥꾼, 어부, 양치기 혹은 비평가가 되지 않고서도 자신이 마음먹은 대로 오늘은 이것을, 내일은 저것을, 즉 아침에는 사냥을, 오후에는 낚시를, 저녁에는 목축을, 저녁식사 후에는 비평을 할 수 있게 된다.”(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세 번째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 시의 중반부에 박혀 있는 “중립국”이라는 단어다. 그러니까 이 시의 배경이 되는 나라가 이런 나라일 수 있는 것은 그곳이 중립국이기 때문이다. 신동엽의 시 곳곳에 ‘중립’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껍데기는 가라’에서도 알몸을 드러낸 아사달과 아사녀는 다름 아닌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부끄럼 빛내며/ 맞절”을 하기도 했던 터다. 한국문학 연구자들은 이미 이십 수년 전부터 신동엽 문학에 내재된 정치철학을 ‘중립의 사상’이라 이름 붙이고 거기서 “유토피아적 공동체의식”(김윤태)이나 “비위계적이면서 유기체적인 관계”(김희정) 등을 활발히 읽어내고 있는 중이다.

위의 시 역시 같은 맥락 속에 놓여 있는 시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이 시의 세 번째 논점을 ‘중립’이라고 해보자. 중립의 사상이란 결국 평화의 사상이다. 시인은 이 나라 사람들에게는 “애당초 어느 쪽 패거리에도 총 쏘는 야만엔 가담치 않기로 작정한 그 지성(知性)”이 있다고 적었다. 또 “상처 내는 미사일기지 탱크기지”는 “억만금을 준대도 싫었다”라고도 적었다. 시인이 이 나라를 “사나이 나라”라고 치하한 것은, 어느 한쪽을 편들며 참전하는 것이 용기가 아니라 그 반대가 진정한 용기라고 말하고 싶었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평화를 지지할 줄 아는 용기가 ‘사나이’만의 것은 아니라는 점을 우리는 신동엽에게 분명히 말해주어야 하겠지만.)

신형철 교수
신형철 교수
물론 50년 전 시에서 오늘의 우리가 모르는 새로운 것을 발견하기는 어려울지도 모른다. “‘산문시 1’ 같은 작품은 삶과 정치에 대한 그의 안목이 만년에 이르러서도 사뭇 표피적이었음을 보여준다”(고종석, <모국어의 속살>)라는 냉정한 평가도 있기는 하다. 그러나 그 내용을 채우고 또 실천하는 것은 우리의 몫이리라. 박근혜 대통령과 보낸 지난 4년은 위의 시가 노래하고 있는 세계와 정확히 반대였다. 이 시의 메시지는 쉽다면 쉬운 것이겠지만, 언제나 그렇듯 쉬운 말을 실천/성취해내는 것이야말로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이렇게까지 절절하게 체험해야 한다는 것도 이 나라 국민의 불행일 것이다. 불행은 이제 겪을 만큼 겪었다. 우리는 저 ‘아름다운 석양의 나라’로 가야 한다.

신형철 문학평론가·조선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취했나 봄’ 패러디 쏟아지고…문화·체육계도 ‘계엄 후폭풍’ 1.

‘취했나 봄’ 패러디 쏟아지고…문화·체육계도 ‘계엄 후폭풍’

12·3 계엄 ‘서울의 밤’…현실이 영화를 이겨버리네 2.

12·3 계엄 ‘서울의 밤’…현실이 영화를 이겨버리네

콩으로 쑨 된장·간장, 한국 23번째 인류무형유산 됐다 3.

콩으로 쑨 된장·간장, 한국 23번째 인류무형유산 됐다

연예계도 계엄 여파 ‘혼란’…두아 리파 내한공연 두고 문의 빗발 4.

연예계도 계엄 여파 ‘혼란’…두아 리파 내한공연 두고 문의 빗발

202:1 경쟁률 뚫고 ‘60초 독백’ 열연…한국영화 이끌 얼굴들 모였다 5.

202:1 경쟁률 뚫고 ‘60초 독백’ 열연…한국영화 이끌 얼굴들 모였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