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천국에도 슬픔이 많다면

등록 2016-01-08 19:41수정 2016-01-10 10:47

안희연, 나의 시를 말한다
이주의 시인 안희연

면벽의 유령

여름은 폐허를 번복하는 일에 골몰하였다

며칠째 잘 먹지도 않고
먼 산만 바라보는 늙은 개를 바라보다가

이젠 정말 다르게 살고 싶어
늙은 개를 품에 안고 무작정 집을 나섰다

책에서 본 적 있어
당나귀와 함께 천국에 들어가기 위한 기도*
빛이 출렁이는 집

다다를 수 있다는 믿음은 길을 주었다
길 끝에는 빛으로 가득한 집이 있었다

상상한 것보다 훨씬 눈부신 집이었다
우리는 한달음에 달려가 입구에 세워진 푯말을 보았다
가장 사랑하는 것을 버리십시오
한 사람만 들어갈 수 있습니다

늙은 개도 그것을 보고 있었다
누군가는 버려져야 했다

기껏해야 안팎이 뒤집힌 잠일 뿐이야
저 잠도 칼로 둘러싸여 있어
돌부리를 걷어차면서

다다를 수 없다는 절망도 길을 주었다
우리는 벽 앞으로 되돌아왔다

아주 잠깐 네가 죽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
늙은 개를 쓰다듬으며

나는 흰 벽에 빛이 가득한 창문을 그렸다
너를 잃어야 하는 천국이라면 다시는 가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무크파란>창간호, 2015

작년 가을 이후, 내 영혼을 깊이 할퀴고 나를 놓아주지 않는 문장이 있다. 보르헤스 인터뷰집인 <보르헤스의 말>(마음산책, 2015)에 수록된 “천국에는 슬픔이 많다”라는 문장이 그것이다. 보르헤스는 그 문장을 영국의 한 성직자가 쓴 책에서 읽었다고 했다. 그리 큰 비중을 두고 한 이야기도 아니었고, 대화는 계속해서 흘러갔지만 나의 시선과 정신은 얼어붙었다. 사형을 언도받은 사람처럼 눈앞이 캄캄했다. 더 이상 책장을 넘길 수 없었다.

천국이라면 슬픔이 없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일 테고 혹여나 있더라도 많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아주 조금, 인간이 오만해지지 않을 정도라면 필요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 너무 순진한 생각 아니냐는 비난까지도 얼마든 받아들일 수 있었다. 다른 세계가 있을 거라는 믿음, 그곳은 지금 여기와 다를 거라는 믿음 없이는 삶을 지속해나가기 힘들었다. 세상의 하고많은 것들 중에 하필 ‘시’를 선택한 이유, 이 무용하고 무가치해 보이는 일을 계속해 나가는 이유도 그와 무관하지 않았다. 믿음이 허망하다는 것을 몰라서가 아니었다. 허깨비에 불과하더라도, 계속해나가다 보면 조금은 덜어지고 옅어질 거라고 생각했다. 그런 믿음으로 광장에 나갔고 한 권의 시집을 묶었다. 한 절망이 떠나가고 더 커다란 절망이 맹렬히 들이닥치는 걸 보면서도 뒤돌아서서 곧 괜찮아질 거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 문장을 읽는 순간, 그간의 믿음은 보기 좋게 제 발에 걸려 넘어졌다. 천국에도 슬픔이 많다면 굳이 그곳에 가야 할 필요가 없을 테니까. 어쩌면 그토록 슬픔이 많은 이곳이 내가 꿈꿔왔던 바로 그 천국일지도 모르니까. ‘생은 다른 곳에’ 있다던 밀란 쿤데라도, “어느 곳이라도 좋다! 어느 곳이라도! 그것이 이 세상 밖이기만 하다면!” 하고 외쳤던 보들레르도 스스로를 속이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아니, 어쩌면 그들은 천국에는 슬픔이 많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단단한 만큼 부서지기 쉬운 것이 믿음임을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에 저토록 간절한 문장을 써야 했던 것이었는지도.

그러니까 멀리 떠났던 내가 도착한 곳은 제자리였던 셈이다. ‘지금-여기’에서의 삶만이 유일하다는 사실, 다른 세상은 없다는 사실, 그러니까 주어진 삶 안에서 어떻게든 잘 살아가야 한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은 것이다. 얼핏 보기에는 뭔가 크게 뒤집힌 것 같지만 실은 매한가지다. 막연하게 허공만 겨누고 있던 총구를 정확하게 다시 조준했을 뿐.

그렇게 나는 두 번째 삶을 시작했다. 단순하고 순진했던 믿음을 깨부수고 보다 복잡하고 어려운 믿음을 받아안았다. 달라질 게 없는 이곳에서, 나아질 수 있으리라는 희망도 없이 시를 쓰고 삼시 세끼 밥을 먹는다. 이 삶의 성공 여부 역시 알 수 없다. 오히려 더 허무하고 무기력할까 봐 두렵다. 그렇지만 이런 건 어떨까. 믿음이 거세된 믿음, 무가치한 것을 쌓아 만든 견고한 성벽.

그것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는 나로서도 알 수 없다. 주어진 삶에 감사하며 살자는 말을 하려는 것이 아니다. 헬조선은 헬조선이고 흙수저는 흙수저일 뿐, 변하지 않는 것을 변할 거라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자학과 포기만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희망이나 절망만큼 쉬운 일은 없다.

안희연
안희연
우리는 그 사이 어디쯤, 매일매일의 탄생과 죽음 가운데 살아 있다. 이보다 더 절대적인 믿음이 있을까. 이곳은 나날이 슬픔이 차오르는 천국이고 나는 오늘도 살아 있다. 살아 있다는 그 엄청난 사실과 싸우며, 그 엄청난 사실로 인해.

안희연 1986생. 2012년 창비신인시인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첫 시집으로 <너의 슬픔이 끼어들 때>(창비, 2015)를 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취했나 봄’ 패러디 쏟아지고…문화·체육계도 ‘계엄 후폭풍’ 1.

‘취했나 봄’ 패러디 쏟아지고…문화·체육계도 ‘계엄 후폭풍’

12·3 계엄 ‘서울의 밤’…현실이 영화를 이겨버리네 2.

12·3 계엄 ‘서울의 밤’…현실이 영화를 이겨버리네

연예계도 계엄 여파 ‘혼란’…두아 리파 내한공연 두고 문의 빗발 3.

연예계도 계엄 여파 ‘혼란’…두아 리파 내한공연 두고 문의 빗발

콩으로 쑨 된장·간장, 한국 23번째 인류무형유산 됐다 4.

콩으로 쑨 된장·간장, 한국 23번째 인류무형유산 됐다

출판인회의 “출판의 자유 압살 윤석열을 규탄한다” 5.

출판인회의 “출판의 자유 압살 윤석열을 규탄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