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망록 김경미
햇빛에 지친 해바라기가 가는 목을 담장에 기대고 잠시 쉴 즈음, 깨어 보니 스물네 살이었다. 신은, 꼭꼭 머리카락까지 졸이며 숨어 있어도 끝내 찾아주려 노력치 않는 거만한 술래여서 늘 재미가 덜했고 타인은 고스란히 이유 없는 눈물 같은 것이었으므로,
스물네 해째 가을은 더듬거리는 말소리로 찾아왔다. 꿈 밖에서는 날마다 누군가 서성이는 것 같아 달려나가 문 열어보면 아무 일 아닌 듯 코스모스가 어깨에 묻은 이슬발을 툭툭 털어내며 인사했다. 코스모스 그 가는 허리를 안고 들어와 아이를 낳고 싶었다. 석류 속처럼 붉은 잇몸을 가진 아이.
끝내 아무 일도 없었던 스물네 살엔 좀더 행복해져도 괜찮았으련만. 굵은 입술을 가진 산두목 같은 사내와 좀더 오래 거짓을 겨루었어도 즐거웠으련만. 이리 많이 남은 행복과 거짓에 이젠 눈발 같은 이를 가진 아이나 웃어줄는지. 아무 일 아닌 듯해도.
절벽엔들 꽃을 못 피우랴. 강물 위인들 걷지 못하랴. 문득 깨어나 스물다섯이면 쓰다 만 편지인들 다시 못 쓰랴. 오래 소식 전하지 못해 죄송했습니다. 실낱처럼 가볍게 살고 싶어서였습니다. 아무것에도 무게지우지 않도록.
1983년도 신춘문예 당선작인 김경미 시인의 시 ‘비망록’은 마음을 빼앗기기 딱 적절한 나이인 스물네 살 때 나에게 찾아왔다. 나는 군대에 있었다. 그리고 이 시를 아마 오백 번쯤은 속으로 암송했을 것이다. 북두칠성이 거대하게 떠 있는 밤하늘을 머리 위로 하고 걷던 야간행군에서. 총에 기대 자고 있는 선임병을 뒤로하고 홀로 보초를 서면서. 많은 후회를 두고 도망치듯 온 군대에서 이 시는 나에게 거대한 위로였다. ‘문득 깨어나 스물다섯이면 쓰다 만 편지인들 다시 못 쓰랴’라고 마무리되어가는 시의 말미쯤에서는 ‘그래. 스물넷 어림쯤은 원래 그런 거야’라고 스스로에게 ‘더듬거리며’ 말을 걸곤 했다. 아마도 스물넷을 지나온 많은 청춘들이 수십 년간 이 시에 위로를 받았으리라.
군대를 제대하고 어리석은 ‘술래잡기’와 ‘거만한 술래’에게 휘둘리기를 서너 번 반복했을 때 즈음 시인의 시가 다시 찾아왔다. 문득 깨어 서른 즈음에 나는 ‘햇빛’이 아닌 ‘세상’에 지친 ‘해바라기’ 같은 친구들과 부대끼고 있었다. 시인은 ‘끝내 아무 일도 없었던 스물네 살엔 좀더 행복해져도 괜찮았으련만’이라고 말했지만. 그들에게는 너무나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었기에 이제는 ‘산두목 같은 사내와 거짓을 겨룰’ 여유조차 가지고 있지 못했다. ‘눈발 같은 이를 가진 아이’는 감정과 열정마저 판매할 것을 요구하는 체제 앞에서 아무 일 아닌 듯 거짓웃음을 짓고 있었다. 신자유주의, 청년실업, 비정규직, 감정노동, 열정페이…. 시간이 더 흘러 한 세대 전체가 그 문제를 겪었을 때 이제 그들에게는 꼬리표가 붙어 있었다. 88만원 세대, N포 세대 따위의 단어들.
어쩌면 이제는 시대가 너무 야박해져서 ‘절벽엔들 꽃을 못 피우랴’와 같은 시인의 감동적인 위로가 누군가들에게 큰 공감이 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지금 스스로를 ‘흙수저’라는 이름으로 자학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그 위로의 시어들은 또 다른 희망고문처럼 들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면 한없이 슬퍼진다. 우리는 위로의 ‘시’를 입에 담는 것조차 냉소해야 하는 시절을 지내고 있다.
실낱만큼이나 가벼운 지갑 사정 때문인지 절벽 앞에서 호기롭게 부리는 위악과 냉소 때문인지 청년들의 삶은 너무 창백해졌다. 그들은 대출원금을 내고 간신히 남아 있는 행복을 소진해가며 그 아슬아슬한 강물 위를 걸어간다. 타인의 고통을 떠안기 위해서든, 세상의 무게에 짓눌리지 않기 위해서든 정작 자신들의 삶은 한없이 가벼워져야만 한다. 어딘가에서는 너무 가벼워져 하늘로 올라간 이도 드문드문 있었다고 한다. 이것은 1980년대 군부독재와 싸우던 투사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거리에서 오늘도 서성이는 젊은이들의 평범한 이야기일 뿐이다. 그들은 이제 시인이 말하는 스물넷을 지나가지 못하고 머물러 있다. 아주 가끔 ‘고스란히 이유 없는 눈물’ 같은 타인에게 기대어 간신히 휴식하는 것이 전부다.
지난달 26일 스물다섯 살의 한 청년이 취업난에 고민하다 원룸에서 목을 매 숨졌다. 그는 엄마에게 “못난 아들 둬서 미안해. 사랑해”라는 문자를 마지막으로 남겼다. 기사를 보며 나는 마치 장송곡처럼 시인의 시를 조용히 읊는다. ‘문득 깨어나 스물다섯이면 쓰다 만 편지인들 다시 못 쓰랴…. 실낱처럼 가볍게 살고 싶어서였습니다…. 아무것에도 무게지우지 않도록.’
조성주 정의당 미래정치센터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