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4차 유행’의 영향으로 7월 생산과 소비가 두 달 만에 동시 감소했다. 다만 경제주체들의 학습 효과로 인해 앞선 1∼3차 유행 때와 견주어 감소폭은 줄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7월 전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2.1(2015년=100)로 전월대비 0.5% 감소했다. 전산업생산 지수는 지난 4월(-1.3%)과 5월(-0.2%)에 감소했다가 지난 6월 반등해 역대 최고치를 찍기도 했지만,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광공업(0.4%)과 서비스업(0.2%) 생산은 소폭 늘었지만 공공행정(-8.3%)과 건설업(-1.9%) 생산은 감소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7월 생산과 지출 모두 전월보다 악화하면서 최근의 경기 개선 흐름이 다소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코로나19 4차 확산 등으로 불확실성이 많이 커진 상황이었음에도 광공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호조를 보이고, 또 소매판매도 비교적 소폭 감소에 그치면서 경기가 대체로 우려한 것보다는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광공업은 자동차 생산이 3.9% 감소하고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1.6%)와 비금속광물(5.9%)에서 늘어나면서 보합세를 보였다. 서비스업은 숙박음식업이 4.8% 감소해 타격이 이어졌지만, 도소매업은 1.7% 증가했다. 비대면 수요와 백신 접종 확대로 정보통신(2.7%)과 보건복지(1.5%)에서도 상승했다.
공공행정 생산은 8.3% 감소해 2013년 3월(-9.8%)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앞서 백신 접종으로 인한 공공운영 지출이 크게 늘면서 지난 5월(8.2%)과 6월(0.7%) 연이어 증가한 뒤 나타난 기저효과다. 건설업은 1.9% 감소해 지난 4월 이후 4개월 내리 감소세를 보였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119.3(2015년=100)으로 전월보다 0.6% 감소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6%) 판매는 늘었는데, 승용차 등 내구재가 2.8% 감소하고 의복 등 준내구재 역시 2.7% 감소한 탓이다. 생산 감소로 인해 내구재 판매가 둔화하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외출이 줄면서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도 감소한 것이다.
하지만 앞선 코로나19 대유행 때와 달리 이번에는 타격이 비교적 적다는 것이 정부의 평가다. 기획재정부는 “코로나 재확산 영향으로 음식・숙박, 여가 등 대면서비스업이 감소했으나 이전 확산기에 비해 감소폭은 크게 축소했다”며 “경제주체의 학습효과와 소비행태 변화, 백신 접종 확대 등 영향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 1∼3차 유행 당시엔 서비스업 생산이 감소했지만 이번에는 0.2% 증가했다. 지난 3차 유행 때는 숙박·음식업 생산이 27.6%나 감소하며 큰 타격을 입었지만 이번에는 4.8% 감소에 그쳤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4차 확산세가 쉽사리 진정되지 않아 거리두기 강화조치가 연장되는 등 방역상황이 여전히 엄중한 상황인 만큼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며 “시급한 지원이 필요한 곳에 적시에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는 한편, 피해 최소화와 민생 안정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