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키예프)의 텔레비전 송신탑이 1일(현지시각) 러시아군으로부터 폭격을 당해 화염에 휩싸여 있다. 키이우/로이터 연합뉴스
정부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대러시아 제재가 정보통신기술(ICT) 생산·수출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
기획재정부는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어 “우크라이나 현지 정세 악화와 서방의 제재 본격화로 국내 경제 영향이 부문별로 조금씩 가시화할 우려가 크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미국은 자국 기술·소프트웨어(SW)를 활용한 제3국 생산제품에 대해서도 러시아 수출을 막기로 한 바 있다.
정부는 또 “사태가 길어질 경우 러시아,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한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에 따라 중소기업 전반의 경영 여건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대러시아 제재와 관련해 지난달 28일까지 산업통상자원부가 운영하는 ‘러시아데스크’ 등에 374건의 애로가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통제 대상 확인, 대금결제, 물류·공급망 애로, 거래 차질, 금융제재 관련 문의혔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