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기획재정부 차관(왼쪽 두 번째)이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2차 공급망 겸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TF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피해기업의 지원 신청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25일 제22차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태스크포스(TF) 겸 제9차 경제안보 핵심품목 TF 회의를 열어 이같이 밝혔다. 피해기업을 상대로 한 긴급금융지원프로그램은 지난 22일까지 신규대출 58건(1178억원), 만기연장 104건(3086억원)이 이뤄졌다. 주별로는 3월4∼9일 6건(141억원)을 시작으로 10∼15일 71건(2152억원), 16∼22일 85건(1971억원)으로 증가했다.
정부는 중소기업 긴급경영안정자금으로 23일까지 2건(21억원)을 지원했고, 세정부문에서도 관세 납기연장·분할납부, 당일 환급 등을 통해 유동성 확보를 지원(44억원)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아울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의존도가 높은 핵심소재 등에 대해 할당관세 적용을 검토 중이다. 정부는 “핵심소재 등 주요 원자재 품목 수급도 아직은 특이사항이 없으나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페로티타늄, 알루미늄 스트립, 자동차 관련 품목(납·구리·캐스팅얼로이) 등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 요청에 대해서도 최대한 신속하게 검토·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반도체 공정에 필수 소재인 희귀가스인 네온과 크세논, 크립톤 등에 대해서는 4월부터 할당관세를 적용(5.5%→0%)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정부는 최근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세와 관련해 “소폭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지린성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안정화 추세”라며 “지난주 봉쇄 조처에 따른 일부 업종의 현지 진출 기업 공장 가동 차질 우려가 이번 주 들어서는 다소 완화되는 국면”"이라고 진단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