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국내 기준금리가 연 3.65%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8일 발표한 ‘미국과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 추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미국의 적정 기준금리를 연 3.12%로 추정하고, 한-미 간 적정금리 차이를 따를 경우 국내 기준금리가 연 3.65%까지 인상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경연은 인플레이션율(소비자물가 상승률)과 본원통화 증가율, 단기(6개월) 국공채금리 등의 경제 변수를 적용한 모형과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결정준칙 등을 토대로 미국의 적정 기준금리를 연 3.12%로 추정했다. 한경연은 연준이 경기침체를 감수하더라도 적정 수준이 될 때까지는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연은 이어 2002년 이후 월별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한-미 간 적정 기준금리 차이를 최소 0.53%포인트로 추정했다. 이를 토대로 향후 연준이 기준금리를 적정 수준인 연 3.12%까지 인상할 경우,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는 연 3.65%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한국이 적정 기준금리 차이인 0.53%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국은행이 현재의 기준금리(연 2.25%)를 1.4%포인트 추가 인상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한경연은 “국내 가계대출 금리를 기준금리로 설명하는 모형에 따르면, 한은의 기준금리가 1.4%포인트 올라가면, 가계대출 금리는 1.65%포인트 상승한다. 기준금리 1.4%포인트 인상에 따른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 증가액은 총 34조1천억원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미국의 공격적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지만 가계 등 민간의 취약한 금융 방어력을 고려해 인상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며 “국내 기준금리 인상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미국의 기준금리 수준이 가장 중요하지만 원화 가치 안정도 필요한 상황인 만큼 무역수지 흑자 관리 등으로 외환시장에 달러 공급이 늘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회승 선임기자
honest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