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6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8%로 10개월 만에 4%대로 내려왔다. 물가 상승세가 둔화했으나 공공요금 인상, 국제유가 추이 등 불확실성이 아직 커 고물가는 계속될 전망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식품업계에 가격을 올리지 말아줄 것을 재차 요청했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38(2020년=100)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4.8%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4월(4.8%) 이후 10개월 만에 4%대로 내려왔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5월 5.4%로 5%대에 진입하고 6월에 6.0%로 올라선 뒤 7월 6.3%로 정점을 찍고 8월부터는 줄곧 5%대를 유지했다. 올해 1월에는 전기요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전월(5.0%)보다 상승폭이 커진 5.2%를 기록하기도 했다.
물가 상승세가 둔화한 데는 석유류와 축산물 가격 하락 영향이 컸다. 2월 석유류 가격은 1년 전 같은 달에 견줘 1.1% 내려갔다. 2021년 2월(-6.3%) 이후 2년 만에 하락세 전환이다. 축산물 가격은 소고기, 돼지고기 할인 행사 영향으로 1년 전보다 2.0% 하락했다.
반면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가격은 전년 대비 28.4% 올라갔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전기료와 가스요금은 지난 1월 인상되면서 2월에도 1년 전과 비교해 가격이 크게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여기에 지난달에는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상수도 요금도 인상됐다. 2월 외식 물가 상승률 또한 7.5%로 전월(7.7%)보다 오름세가 다소 둔화하긴 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정부는 물가 상승세 둔화를 기대하면서도 오름폭을 다시 키울 불확실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추 부총리는 이날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부문별로 불안 요인이 남아있지만, 특별한 외부 충격이 없다면 향후 물가는 둔화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환석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같은 날 물가상황점검회의에서 “3월에는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상당폭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해 3월 석유류 가격은 1년 전 같은 달에 견주어 31.2%, 전월 대비로는 13.8%나 급등한 바 있다.
다만 향후 공공요금 인상 폭 및 시기, 중국의 경재활동 재개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 가능성 등은 물가 상승세를 다시 자극할 불안 요인으로 꼽힌다. 이 부총재보는 “소비자물가는 연중 (한국은행) 목표수준(2%)을 웃도는 오름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나, 향후 물가 경로상에는 국제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흐름, 공공요금 인상 폭 및 시기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상반기 도로·철도·우편 등 일부 공공요금을 동결하고, 먹거리 가격 상승을 통제하는 등 ‘물가 누르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전기·가스요금 인상에 대해서도 속도 조절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추 부총리는 이날에도 식품업계를 향해 “생산성 향상 등 원가절감을 통해 인상요인을 최대한 흡수해주실 것을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