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중 의원이 포털사이트 다음이 ‘대깨문’은 가리는데 ‘닭근혜’는 안 가린다며 정치 댓글 관리가 ‘좌편향’이라고 공격하고 나섰다. 사진 박성중 의원 누리집 갈무리.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한겨레 h730’을 쳐보세요.
네이버와 제휴한 ‘에스엔유(SNU) 팩트체크’를 ‘좌편향’이라
공격했던 국민의 힘 박성중 의원이 이번에는 카카오의 정치 댓글 관리가 ‘좌편향’이라고 공격하고 나섰다. 카카오가 운영하는 포털사이트 다음의 기사 댓글에 ‘대깨문’을 넣으면 자동으로 가림 처리되지만 ‘닭근혜’를 치면 방치돼 ‘좌편향’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한겨레 확인 결과, 이는 ‘대가리가 깨진’이라는 비속어가 탐지된 결과로 ‘대깨윤’도 가림 처리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당이 총선을 앞두고 디지털 통제를 위해 ‘논란을 위한 논란’을 부추기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민의 힘 간사를 맡은 박성중 의원은 10일 “다음의 기사 댓글에 ‘대깨’, ‘대깨문’을 쓰면 세이프봇에 의해 자동으로 가림 처리되는데, 보수진영 공격에 쓰이는 ‘쥐박이, 닭근혜, 굥’ 등의 정치 댓글은 그대로 방치하고 있다”며 “카카오(다음)가 민주당을 위해 여론을 조작한 것과 별반 다르지가 않으며, 이중적이고 좌편향적인 판단 기준이 만천하에 드러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깨문은 ‘대가리가 깨져도 문재인’의 준말로, 문 전 대통령 강성 지지 세력을 비하하는 표현이다. 이번 정부 들어서는 ‘대깨윤’과 같이 변주되고 있기도 하다. 박 의원이 예로 든 쥐박이, 닭근혜는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때 쓰였던 표현이며, ‘굥’은 윤석열 정부가 민주주의에 역행한다는 의미로 윤 대통령의 성인 ‘윤’을 뒤집어 표현한 것이다.
‘대깨문’은 가리는데 왜 ‘닭근혜’는 가리지 않냐는 질문에 카카오 관계자는 “뭔가 오해가 있는 듯하다”며 “다음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인터넷 내용등급 서비스(세이프넷)’를 준수해 가림 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정치적 해석을 포함한 어떤 임의적 해석이나 판단은 포함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2020년 12월부터 적용된 세이프봇은 욕설과 비속어를 포함한 댓글을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해 자동으로 필터링하는 기능이다.
그래서 욕설이라 분류할 수 없는, 정치적 해석 영역의 단어들은 가림 처리 되지 않고 있다. 박성중 의원이 예시로 든 ‘쥐박이, 닭근혜, 굥’뿐 아니라 ‘문죄인, 문재앙, 찢재명, 개딸, 이죄명’ 등의 키워드 역시 가려지지 않고 있다. 다만 “동물의 머리를 의미하는 동시에 사람에 대한 비속어로 사용되는 ‘대가리’가 포함된 ‘대깨’는 비속어로 판단하여 해당 어휘가 포함된 대깨윤, 대깨문 등은 가리기 대상”이라고 카카오는 설명했다.
박성중 의원은 카카오가 욕설만 한정해 규제하고 있다는 주장은 거짓이며, 따라서 이 문제를 국회가 나서 검증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또 “카카오의 댓글 시스템 구축 과정에 최영애 국가인권위원장도 가담했으므로, 이를 조사해 좌편향된 댓글 규제 시스템과 국민의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려 한 사전검열 수준의 댓글 정책 수립에 가담한 모든 관계자들을 엄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팩트체크 서비스부터 스포츠
클릭응원, 댓글 욕설 관리에까지 여당이 잇달아 국내 포털을 향해 ‘편향·조작’ 문제를 제기하는 것에 대해,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정부·여당이 빅테크 플랫폼의 알고리즘(작동 방식)을 입맛에 맞게 바꾸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토록 끝없는 압박을 통해 결국 정부·여당이 바라는 것은 내년 총선 전에 주요 포털의 알고리즘을 모두 들여다본 뒤 입맛에 맞게 바꾸는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고 우려했다.
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