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은행 헐값 매각의혹 사건과 관련해 감사원의 조사를 받고 있는 김석동 재정경제부 차관보(왼쪽)가 7일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답변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50개로 쪼개져 송금된 매각자문료 계좌추적 나서
감사원, BIS 산정 추궁…“실수 아니라 조작인 느낌”
감사원, BIS 산정 추궁…“실수 아니라 조작인 느낌”
검찰이 7일 외환은행 매각자문사였던 엘리어트홀딩스를 전격 압수수색하고 이 회사 대표 박아무개씨를 소환조사하면서 외환은행 헐값 매각 의혹에 대한 검찰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검찰은 일단 탈세와 외화밀반출 의혹을 먼저 수사한다고 밝히기는 했지만, 헐값매각 의혹 수사도 감사원 감사와 맞물리면서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그동안 “감사원 감사와 병행해서 수사하면 감사에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헐값매각 의혹 수사는 일단 속도조절을 해왔다. 그럼에도 검찰이 엘리어트홀딩스를 압수수색하고 박 사장을 소환조사한 것은 최소한 로비 의혹의 단서는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박 사장이 외환은행으로부터 받은 매각자문수수료 가운데 6억원 정도를 무려 50여개로 쪼개 누군가에게로 송금한 것도 예사롭지 않다.
검찰은 이 돈이 론스타의 외환은행 인수에 따른 사례금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외환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이 널을 뛰는 등 무리한 과정을 거쳐 론스타에 인수되는 과정에서, 정관계 인사나 부처 실무자급들에게 로비가 이뤄진 게 아니냐는 것이다.
금융권에서는 박 사장이 단순히 계좌를 빌려줬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외환은행 출신인 박 사장은 매각 당시 외환은행 상무였던 전아무개씨의 최측근으로 알려져 있다. 박 사장을 잘 아는 금융권 관계자는 “엘리어트홀딩스는 전 상무와 이강원 행장의 개인적인 조언자 구실을 했을 뿐, 외환은행 매각에 별 권한이 없었던 것으로 안다”며 “박 사장이 돈을 쪼개 누군가에게 송금했다면, 박 사장이 알아서 실행했다기 보다 박 사장의 계좌가 돈을 나눠주는 데 이용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검찰은 일단 계좌추적에 총력을 기울여 돈이 꽂힌 곳이 어디인지를 밝혀낼 예정이다. 계좌추적 결과에 따라 외환은행 헐값 매각 의혹의 ‘메가톤급 진실’이 밝혀질 수도 있어 보인다. 검찰은 계좌추적 결과가 나오기 전에라도 박씨 조사를 통해 돈의 사용처가 드러나면 형사처벌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감사원은 회계전문가를 투입해 재산정 작업중인 2003년말 외환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의 잠정 수치가 외환은행이 당시 제시한 6.16%보다 높게 나온 정황을 중시하고 비율 조작 의혹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감사원은 이와 관련해 이 전 행장에게는 당시 비아이에스 비율을 낮게 산정한 것이 은행의 자체 판단인지, 아니면 재경부나 더 윗선의 ‘압력’이 있었는지에 대해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원은 2003년 7월15일 열린 이른바 관계기관대책회의가 열린 것도 이런 의혹과 무관하지 않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감사원의 한 고위 관계자는 “당시 외환은행과 금감위의 결정은 ‘의도된 실수’가 아니라 ‘치밀한 조작’에 가깝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김태규 최익림 기자 dokbul@hani.co.kr
감사원의 한 고위 관계자는 “당시 외환은행과 금감위의 결정은 ‘의도된 실수’가 아니라 ‘치밀한 조작’에 가깝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김태규 최익림 기자 dokbul@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