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올 3분기(7~9월) 매출 62조원에 영업이익 7조7800억원을 올렸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역대 두번째 큰 성과를 냈던 전년 동기(65조466억원) 대비 5.28% 줄었지만 지난 2분기보단 10.47% 늘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5.74% 감소했으며 전 분기보단 17.9% 증가했다. 이는 증권가 전망치를 상회하는 성과로 매출액은 4분기만에 60조원대를 회복했다. 주력 제품인 메모리 반도체가 견조한 실적을 올렸고 신제품 갤럭시노트10의 선방 등으로 스마트폰 사업의 이익이 크게 개선됐다. 디스플레이 부문은 1년만에 1조원대 영업이익을 회복했다.
부문별로 보면 반도체는 3분기 매출 17조5900억원, 영업이익 3조500억원을 올렸다. 삼성전자는 “3분기 메모리 반도체는 주요 고객사들의 고용량 메모리 스마트폰 출시와 데이터센터용 2TB 이상 고용량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수요의 증가에 따라 견조한 실적을 올렸다”라며 “계절적 성수기로 인해 전반적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특히 일부 고객사들의 재고 확보용 수요가 크게 확대됐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시스템 엘에스아이(LSI)는 프리미엄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전력반도체(PMIC), 오엘이디(OLED)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등의 수요 증가와 함께 고화소 이미지센터 공급 확대에 따라 실적이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올해 들어 반도체 부문의 매출액은 14조4700억원→16조900억원→17조5900억원으로 회복 추세에 있다. 다만 영업이익(3조500억원)은 2016년 2분기(2조6400억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의 여파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아이티앤모바일커뮤니케이션(IM) 부문은 29조2500억원의 매출액에 영업이익 2조9200억원을 거둬 예상보다 좋은 실적을 냈다.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이 1조5600억원에 그쳤던 데 비하면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10과 A시리즈의 판매 호조와 중·저가 라인업 전환 비용 감소에 따른 수익성 개선 등으로 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고 밝혔다.
디스플레이 사업은 매출 9조2600억원에 영업이익 1조1700억원을 올렸다. 지난 1분기 5600억원 영업손실을 보고 2분기 750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던 데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번 영업이익은 2017년 4분기(1조4100억원) 이후 최대치다. 삼성전자는 “주요 고객사들의 신제품 출시로 중소형 오엘이디 공급 확대와 가동률 향상으로 전 분기보다 실적이 개선됐다”고 소개했다.
티브이(TV)와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컨슈머일렉트로닉스(CE) 부문의 매출은 10조9300억원, 영업이익은 5500억원이었다. 티브이 사업의 수익성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하락했고, 냉장고 등 생활가전 사업의 경우 늘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에 대해 “4분기에는 D램 1y 나노 공정 전환을 확대해 원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서버용 고용량 제품 판매 확대와 함께 모바일 LPDDR5 제품에 대한 수요에도 적극 대응할 예정”이라며 “낸드플래시의 경우 6세대 V낸드로 공정 전환을 확대하고 프리미엄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4분기 스마트폰에 대해선 “A시리즈는 신모델 출시 등으로 견조한 판매를 이어갈 예정이나 스마트폰 판매 감소와 성수기 마케팅 비용 증가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하락할 전망”이라며 “내년엔 5세대(5G) 수요 성장에 적극 대응하고 프리미엄부터 중저가 제품까지 전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해 판매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폴더블 제품을 통한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스플레이 사업에 대해선 “4분기 중소형 디스플레이는 일부 라인 가동률 저하에 따른 비용 증가와 제품 라인업별 비중이 변경되고, 대형의 경우 비수기 진입에 따른 수요 감소 등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생산 효율 향상, 차별화 기술 적용 확대, 제품 다변화를 통해 수익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020년 중소형 디스플레이 사업은 차별화한 기술과 디자인을 바탕으로 5G 스마트폰 교체 등의 수요에 맞춰 판매를 확대하고 폴더블 등 신제품군 수요에도 적극 대응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송경화 기자
freehw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