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상품 미국산 구매 200억달러…공산품 이행률 53%
“공산품 한국산이 미국산으로 대체되는 현상 크지 않아”
“공산품 한국산이 미국산으로 대체되는 현상 크지 않아”
지난 1분기 중국의 주요 미국산 제품 구매금액(서비스품목 제외한 상품 교역)이 200억달러로 미-중 1단계 무역합의 이행 목표에 견줘 4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미국산으로 수입을 대체하는 이행률이 낮아 중국시장에 수출하는 한국산 제품의 피해는 그만큼 줄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무역협회가 4일 내놓은 ‘미-중 1단계 무역합의 경과’ 분석보고서를 보면, 중국은 1분기에 총 432억달러 규모의 미국산 상품(공산품·농산물·에너지)을 구매하기로 약속했지만 실제 구매금액은 200억달러에 그쳐 이행률이 46.3%에 그쳤다. 중국이 1단계 무역합의에서 약속한 올해 미국산 제품 ‘추가 구매액’은 총 639억달러(서비스품목 제외·공산품 329억달러, 농산품 125억달러, 에너지 185억달러)다. 올해 이행목표는 2017년 공산품·농산물·에너지 총수입액(1088억달러)에 639억달러를 추가한 1727억달러로, 분기당 423억달러인 셈이다. 1분기 미국산 총구매액을 품목별로 보면, 공산품(148억달러·분기당 합의액 277억달러)은 전년동기 대비 16.8% 감소해 구매 이행률이 53.4%에 그쳤다. 농산품(51억달러·분기당 합의액 91억달러)은 55.6%, 에너지(1억달러·분기당 합의액 63억달러)는 1.5%에 불과했다. 공산품·농산물·에너지 품목에서 중국의 1분기 전세계 수입(3183억달러)은 전년 동기대비 0.3% 늘어난 반면, 미국산 수입은 오히려 감소(-2.7%)했다.
지난 1분기 한국산 공산품의 중국시장 수출액은 반도체 수출 증가 등에 힘입어 총 276억5천만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4.2% 감소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1분기 전세계 공산품 수입 감소율(-2.5%)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당초 우려했던 미국산으로의 대체는 크게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분석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