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경제규모가 올해 1분기에 1.9% 줄어들었다. 미국과 유럽의 경제제재로 에너지 수출이 크게 감소한 탓으로 풀이된다.
러시아 연방통계청은 17일(현지시각) 러시아의 국내총생산(GDP)이 1분기(1~3월) 동안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줄었다고 발표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보도했다. 미국과 유럽은 지난해 2월 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이후 러시아산 석유제품에 대한 금수와 상한가 적용 등의 제재 조처를 쏟아냈다. 이에 따라 러시아 경제는 지난해에도 -2.1% 역성장하는 등 악영향을 받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 3월 보고서에서 러시아의 석유 수익이 43% 줄어든 것으로 추계했다. 석유 수익의 감소로 러시아의 재정 적자는 1분기에만 3조4천억 루블(56조7200억원)에 이르렀다. 러시아 재정부는 “석유를 포함한 에너지 수익이 총 52% 줄어든 반면 지출은 26% 늘어나면서 재정적자 규모가 목표치인 2조9천억 루블을 크게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공공부문 적자가 국내총생산의 3~4% 수준까지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러시아 3월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올랐다 4월엔 2.3%로 상승폭이 줄어드는 등 비교적 안정된 지표를 보이고 있다. 실업률도 3.5%로 낮았다. 전문가들은 낮은 실업률은 러시아의 경제활동 인구가 줄어든 결과이기 때문에 우려할 만한 현상이란 견해를 밝히고 있다. 러시아는 오랫동안 고질적인 노동력 부족에 시달려 왔는데,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를 침략한 뒤 이런 현상이 더 심각해졌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