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소식통 밝혀…정부는 확인도 부인도 안해
“탈레반, 새시한 설정 않고 한국과 대면 협상”
“탈레반, 새시한 설정 않고 한국과 대면 협상”
아프가니스탄 한국인 피랍 15일째인 2일 정부 관계자가 건강이 몹시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인질 2명을 면담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져 이들의 우선 석방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또 탈레반이 협상 시한을 새롭게 설정하지 않은 채 한국 정부와 직접 협상에 주력하겠다는 뜻을 비쳐 협상 타결의 실마리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아프간 현지 소식통은 이날 오후 “한국 정부 관계자가 인질들을 면담하기 위해 출발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그는 탈레반 대변인 카리 유수프 아마디가 몹시 아프다고 말한 인질 2명이 면담 대상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확인해줄 수 없다”면서도 강력히 부인하지는 않았다. 또 일부 아프간 의사들은 카불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피랍자들의 치료를 위해 인질 억류 지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에프페>(AFP) 통신은 이날 탈레반이 한국 대표단과의 대면 협상에 응하기로 했다고 미라주딘 파탄 가즈니주 주지사의 말을 따 보도했다. 파탄 주지사는 “한국 대표단의 요청을 탈레반이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아마디 대변인은 “한국 협상단을 만날 자신들의 대표단을 골랐다”며 “언제 어디서 한국 협상단을 만날지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일본 <교도통신>은 아마디가 “앞으로는 협상 시한을 새로 설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아마디는 “협상을 통해 탈레반 수감자 석방 요구가 충족될 것이라는 희망이 없다고 판단되면 곧바로 인질들을 살해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그의 발언은 탈레반이 시한을 촉박하게 정해 피랍자를 살해하던 전략을 일부 바꾼 것으로 풀이된다. 또 한국 정부가 그동안 탈레반 쪽에 시한을 재연장하거나 설정하지 말 것을 요구해 왔다는 점에서 한국과의 협상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보인다. 아프간 정부가 인질 석방 협상 대표로 임명한 와히둘라 무자디디 의원은 이날 “아프간 정부가 협상단 활동에 협조하기를 거부했으며, 결국 관계당국의 미온적 태도로 협상이 진전되지 못했다”고 비난하면서 협상단 탈퇴를 선언했다고 현지 통신인 <파지와크 아프간뉴스>가 보도했다. 그의 협상단 탈퇴는 정부와 탈레반의 직접 협상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톰 케이시 미국 국무부 부대변인은 1일(현지시각) 기자간담회와 정례브리핑을 통해 “지금 우리의 최대 관심은 한국 인질 개개인의 안전한 석방과 건강”이라며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케이시 부대변인은 또 5일 열리는 미국과 아프간의 정상회담에서 한국인 피랍자 문제가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인질 구출작전 보도와 관련해선 “군사작전과 유사한 것이 진행되고 있다는 어떠한 정보도 없고, 이를 확인할 수도 없다”며 부인했다.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 원내대표 등으로 구성된 국회 대표단 8명은 인질들의 조속한 석방 노력을 미국 쪽에 촉구하고자 2일 워싱턴으로 떠났다. 이들은 니컬러스 번스 국무차관 등 미국 정부와 의회 관계자들을 만나 미국의 적극적 자세를 요청할 계획이다. 이본영 권태호 기자, 카불/강경란 프리랜서 피디 ebon@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