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침공 나흘째’ 러시아, 제2도시 하르키우 진입…우크라 “결사항전”

등록 2022-02-27 21:56수정 2022-02-27 22:17

러, 키예프에 미사일 쏘는 등 공세 강화
우크라 제노사이드 이유로 러 ICJ 제소
젤렌스키, 러 “유럽·민주주의 겨냥 전쟁”
미국·유럽 “국제 결제망서 러 은행 배제”
우크라이나의 한 병사가 26일 수도 키예프에서 불타는 군용 트럭 옆을 걸어가고 있다. 러시아는 지난 24일 우크라이나 침공을 개시해 키예프에 미사일 공격을 가하는 등 우크라이나 동·남·북부에서 진격을 이어가고 있다. 키예프/A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의 한 병사가 26일 수도 키예프에서 불타는 군용 트럭 옆을 걸어가고 있다. 러시아는 지난 24일 우크라이나 침공을 개시해 키예프에 미사일 공격을 가하는 등 우크라이나 동·남·북부에서 진격을 이어가고 있다. 키예프/AP 연합뉴스

러시아가 침공 나흘째인 27일(현지시각) 수도 키예프에 이어 우크라이나 제2 도시 하르키우(하리코프)에 진입하는 등 공세를 강화했다. 미국과 유럽은 러시아 은행들을 국제결제망에서 배제하는 초강수 경제 제재를 꺼냈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침공에 결사항전하겠다는 태도를 꺾지 않으며, 전쟁의 초반 전개 양상이 러시아의 의도와 다르게 흘러가는 모습이다.

러시아는 27일 새벽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예프 인근에 미사일 두 발을 발사하며 나흘째 공세를 이어갔다. 공세는 우크라이나 전 지역에서 동시다발로 이뤄져 러시아군은 동북부의 하르키우에 진입해 시가전을 벌였다. 올레흐 시네후보우 하르키우 주지사는 “러시아군 차량이 하르키우 도심까지 들어왔다”며 “우크라이나군이 적을 부수고 있다. 민간인은 외출하지 마라”고 밝혔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인종학살(제노사이드)을 벌이고 있다며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했다.

두 나라는 사태 수습을 위한 협상 개최 여부를 놓고도 티격태격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레믈(러시아 대통령궁) 대변인은 27일 “러시아 대표단이 벨라루스 남동부 호멜에 도착했고 협상을 시작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동영상 연설에서 “러시아와 평화 협상은 기꺼이 하겠다”면서도 이곳이 러시아군의 침공 거점이라는 점을 들어 “벨라루스(에서의 대화)는 거부한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한 보좌관은 러시아가 협상 대표단을 보낸 것은 “선전전”이라고 말했다.

개전 나흘째인 27일 우크라이나 시민들이 수도 키예프에서 러시아군에 대항하기 위해 화염병을 만들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결사 항전할 뜻을 꺾지 않으면서, 시민들도 똘똘 뭉쳐 러시아의 침공에 대항하는 모습이다. 키예프/AP 연합뉴스
개전 나흘째인 27일 우크라이나 시민들이 수도 키예프에서 러시아군에 대항하기 위해 화염병을 만들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결사 항전할 뜻을 꺾지 않으면서, 시민들도 똘똘 뭉쳐 러시아의 침공에 대항하는 모습이다. 키예프/AP 연합뉴스

26일 현재까지, 미국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필사적 저항에 의외로 고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 국방부 고위 관리는 이날 브리핑에서 “저항이 러시아가 예상했던 것보다 크다. 러시아가 지난 24시간 동안 점점 더 좌절하고 있다는 신호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키예프를 사수하고 있는 젤렌스키 대통령은 26일 동영상 메시지를 통해 “우리는 성공적으로 적의 공격을 저지하고 있다”며 항전을 독려했고, 27일엔 이 전쟁은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유럽과 민주주의, 기본적 인권, 평화적 공존을 상대로 한 전쟁”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크라이나 시민들은 총을 지급받고 화염병을 만드는 등 저항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장담할 수 없다. 키예프의 전황이 고착될수록 우크라이나의 항전 의지와 국제사회의 반전 열기가 커지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점점 난처한 입장에 놓이게 된다. 그 때문에 러시아군이 키예프 상황을 속히 마무리하는 가차 없는 공격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국제사회의 대러시아 압박 수위는 올라갔다. 미국과 유럽 주요국들은 26일 러시아 숨통을 조일 핵심 제재로 꼽혀온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결제망에서의 러시아 주요 은행의 퇴출을 발표했다. 분쟁 지역에 무기 수출을 금지해온 독일도 대전차 무기 1천정과 군용기 격추를 위한 적외선 유도 지대공미사일 ‘스팅어’ 500기를 지원하기로 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푸틴은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를 분열시킬 수 있다고 믿었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며 동맹들의 결집을 재차 강조했다. 전세계 주요 도시에선 나흘째 전쟁 반대 시위가 이어졌다.

황준범 기자, 박병수 선임기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여객기 충돌’ 미군 헬기, 고위직 대피 비밀훈련 중이었다 1.

‘여객기 충돌’ 미군 헬기, 고위직 대피 비밀훈련 중이었다

미국서 또 항공기 추락…어린이 환자 태운 채 주택가로 떨어져 2.

미국서 또 항공기 추락…어린이 환자 태운 채 주택가로 떨어져

50년 전에 인간이 갔던 달, 왜 다시 못 가나 3.

50년 전에 인간이 갔던 달, 왜 다시 못 가나

미 필라델피아 쇼핑몰 인근에 항공기 추락 4.

미 필라델피아 쇼핑몰 인근에 항공기 추락

딥시크가 뭐길래 엔비디아가 대폭락해?…중국 AI 돌풍 5.

딥시크가 뭐길래 엔비디아가 대폭락해?…중국 AI 돌풍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