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2일 아이오와주 디모인의 공항에서 워싱턴행 전용기에 오르기 전 기자들에게 다가가며 손짓하고 있다. 디모인/A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2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서 “제노사이드”(집단살해)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쓰지 않던 표현을 동원해 푸틴 비판 수위를 한층 높인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아이오와주를 방문해 에너지 가격 부담 완화에 대해 연설하면서 “여러분의 가족 살림살이, 기름통을 채워 넣을 능력, 이런 것들이 한 독재자가 선전포고를 하고 지구 반대편에서 제노사이드를 저지르는지에 결정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연설 뒤 기자들과 만나 “푸틴이 우크라이나인임에 대한 생각 자체를 말살하려 시도하고 있다는 게 점점 분명해지고 있기 때문에 나는 이를 제노사이드라고 부른다”며 “증거가 쌓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나에게는 (제노사이드로) 확실하게 보인다”면서도 “파괴행위에 대해 갈수록 더 알게 될 것이고 그게 (제노사이드에) 해당하는지는 법률가들이 국제적으로 결정하도록 하자”고 말했다.
제노사이드는 특정 국민과 민족, 인종, 종교, 정치 집단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절멸시킬 목적으로 행해지는 폭력을 뜻한다. 국제형사재판소(ICC)가 다루는 4가지 범죄에 제노사이드가 인도에 반한 죄, 전쟁 범죄, 침략 범죄와 함께 들어간다.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시 이후 푸틴 대통령을 “전범”이라고 불렀으나, “제노사이드”라는 말까지 꺼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두 가지 표현 모두 법적으로는 민감한 표현이지만, 갈수록 잔혹해지는 푸틴 대통령의 행위에 바이든 대통령이 정치적 비난을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트위터에 “악에 맞서려면 정확히 부르는 게 필수적”이라며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을 “참된 지도자의 참된 발언”이라고 반겼다.
러시아군은 최근 우크라이나 북부 키이우 지역에서 철수하면서 인근 도시 부차 등지에서 민간인을 대규모로 살해한 것으로 나타났고, 동부 지역의 기차역에 미사일 공격을 가해 역시 수십명의 민간인 사망자를 냈다. 11일에는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남부 항구도시 마리우폴에서 화학무기를 사용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