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트위터 브리핑] 달라이 라마와 김주하 / 김외현

등록 2010-06-24 17:51

이 주의 리트위트(RT)
이 주의 리트위트(RT)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는 지난 2월 말 트위터에 가입했다. 24일 오후 현재 189건의 글이 영어로 올라와 있다. 꾸준히 늘어나는 팔로어는 어느덧 46만명이 넘는다. 다만 누구도 팔로하지 않는다. 팔로 숫자가 0이다.

그러던 달라이 라마가 지난달 21일 트위터를 통해 중국 누리꾼들과의 ‘대화’를 경험했다. 미국에 망명한 중국인 반체제 작가 왕리슝이 추진한 인터뷰로, 달라이 라마의 답변은 왕리슝의 트위터 계정으로 중계했다. 중국 정부의 탄압을 피해 1959년부터 인도 망명중인 달라이 라마가 본토 중국인들과 교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트위터를 쓴다는 것 자체가 일단 걸림돌이었다. 중국 서버를 통한 트위터 접속은 지난해부터 차단된 상태다. 다만 우회 경로가 있어 아주 불가능하진 않다. 언어도 장벽이었다. 인터뷰에서 왕리슝은 중국어, 달라이 라마는 티베트어를 썼다. 트위터에는 중국어로 통역한 달라이 라마의 말이 올라갔다. 인터뷰는 베이징 시각 오후 8시30분부터 고작 한시간 동안 진행했을 뿐이다. 준비한 질문 280여개를 다 소화하기는커녕, 여덟개를 다루는 데 그쳤다. 실시간 질의·응답은 언감생심이었다. 결코 활발한 대화는 아니었다. 어찌보면 트위터답지 않았다. 그러나 내용에 대한 시비는 있을지언정, 방식에 대한 시비는 찾기 힘들다. 중국 누리꾼도 참가한 인터넷 투표로 질문 내용을 접수·결정한 과정이나 어렵사리 진행한 트위터 중계는 분명히 ‘소통’이었기 때문이다.

이번주 불거진 문화방송 김주하 앵커의 트위터 논란과는 대조적이다. 애초 시비는 ‘팔로어가 몇만인데 팔로는 고작 여섯이냐. 소통하지 않는다’는 한 누리꾼의 지적에서 불이 붙었다. 김 앵커는 ‘나름의 방식대로 소통하고 있다’고 되받았다. 다른 논점은 차치하더라도, 팔로와 소통을 동일시하는 시각은 설득력을 잃는다. 트위터든 팔로든 소통을 편하게 해주는 수단일 뿐이다. ‘트이고 통하다’는 뜻의 소통에선, 얼굴을 맞대지 않는 한 애초부터 모든 게 걸림돌이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 이 주의 리트위트(RT)

@whitehouse(백악관)


트위터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메드베데프 대통령! RT @KremlinRussia_E(크레믈): 여러분 안녕하세요! 트위터를 시작합니다. 이게 첫 트윗이에요.*영문 번역

@jeongms

잡스에게 안드로이드를 RT @zockr: 007에게 금욕특강을 RT @psyche182 헨리8세에게 가족법 강의를 RT @namhoon: 뽀로로에게 격투기를 RT @namhoon: 잭 바우어에게 인권법 강의를 RT @newspresso: 부시한테 평화 간증 기도를 듣느니 덱스터한테 형사법 특강을 듣겠다.

@chamnet21

차의 앞범퍼가 심하게 긁혀 있었다. 와이퍼에 꽂힌 쪽지 보고 졸도! “후진주차 미숙해 실수했네요. 주변 분들이 절 쳐다보고 있습니다. 그들은 제가 이름, 연락처를 적고 있다 생각할 것입니다. 그럼 20000”

@lovejulie510

난 웹으로 트위트하기 때문에, 뭐하냐고 물어보면 늘 컴퓨터하는 중이야! ㅋㅋ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