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트위터브리핑] 트위터가 세상을 바꿀 것인가 2 / 김외현

등록 2010-09-30 20:46

이 주의 리트위트
이 주의 리트위트

미국의 사회학자 마크 그래노베터 스탠퍼드대 교수가 사회관계망에 대해 고찰한 <약한 고리의 힘>이 나온 것이 1973년이었다. 그래노베터는 이 논문에서, 개인적 인맥을 통해 구직에 성공한 이들의 수가 광고나 헤드헌터 같은 ‘공식적’ 경로를 활용한 경우의 거의 3배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게다가 실질적인 도움을 준 ‘인맥’의 80%는 “가끔 만나는” 또는 “거의 안 보는” 사람들이었다. 대부분의 삶을 공유하는 “자주 보는” 사람들보다 외려 새로운 정보를 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래노베터는 이를 ‘약한 고리’라고 명명했다.

그는 사회운동에서도 약한 고리가 필수라고 봤다. 예컨대 1960년대 보스턴의 한 이탈리아인 거주지역은 도시 재개발 정책을 막지 못했다. 가족만큼 ‘강한 고리’를 가진 끈끈한 집단만 여럿 모여 있는 지역이었다. 반대 여론이 있었지만, 집단과 집단 사이에 연결고리가 없었다. “어떤 사람이 집단 내 모든 구성원에게 연결돼 있지만 집단 밖에는 아무 연결고리가 없다고 가정해 보자. 전단지나 방송 등을 통해 뭔가 시작했다는 소식을 접할 수는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대중적 매체에서 뭔가 소식을 알게 되더라도 개인적 지인으로부터 같은 소식을 접하지 않으면 행동에 나서지 않는다.” 실제로 약한 고리가 풍부했던 다른 지역에서는 비슷한 시기 대대적인 재개발 정책을 성공적으로 막아낸 예도 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은 전형적인 약한 고리로 보인다. <블링크> <아웃라이어> 등의 지은이 맬컴 글래드웰도 <뉴요커> 최근호에서 “소셜미디어는 약한 고리를 중심으로 구축된다. 인터넷은 이런 ‘먼 관계’의 힘을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줬다”고 인정한다. 그러나 그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변혁에는 회의적이다. 약한 고리가 “위험성 높은” 사회운동으로 이어지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세상이 필요로 하는 것이 잡담뿐이라면 몰라도, (1960년 흑인 연좌농성의 원인이 됐던) 백인 전용 좌석이 아직 있다고 여긴다면, 그만했으면 좋겠다.” 이를 계기로 미국에서도 흥미로운 논쟁이 시작되었다. 트위터는 과연 세상을 바꿀 것인가.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 이 주의 리트위트(RT)

@jiyoun8825


저녁에 의자를 사지 마라. 어느 것이든 편안하게 느껴질 것이다. 힘들 때 아무나 만나지 마라. 누구에게든 기대고 싶을 것이다.

@psotaku

지하철에서 앞에 앉은 남자가 아이폰3gs를 들고 만지작거리길래 난 내 아이폰4를 만지며 흐뭇하게 웃었다. 나의 미소를 느낀 것인가. 그는 가방에서 가볍게 아이패드를 꺼내기 시작했다 ㅠㅠ

@gyedo

전 왠지 ‘김밥천국’ 하면 뒤에 세트로 ‘오뎅지옥’ 해야 할 것 같아요 :)

@Ryan_HS_Song

여자가 남자의 교양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상대적 약자에게 어떤 방식으로 대하는지 살펴보는 것. 예를 들어 레스토랑에서 직원들에게 고압적인 남자치고 훌륭한 남자 드물다. 수틀리면 자신(여자)에게도 그렇게 굴게 된다. 습관과 철학의 힘은 강하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