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대권도전 공식화-
유엔 사무총장 10년 경험 제시하며
“인류평화·약자 인권보호” 내세워
“지도자 실패가 민생파탄 몰고 가”
‘촛불’ 치켜세우며 현 정권과 차별화
“나는 권력의지 확실” 목소리 높여
유엔 사무총장 10년 경험 제시하며
“인류평화·약자 인권보호” 내세워
“지도자 실패가 민생파탄 몰고 가”
‘촛불’ 치켜세우며 현 정권과 차별화
“나는 권력의지 확실” 목소리 높여
12일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귀국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인천공항/공항사진기자단
반 전 총장은 우선 지난 10년간의 유엔 사무총장 활동을 소개하는 형식으로 자신이 한국 사회의 주요 의제들도 두루 섭렵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인류의 평화와 약자의 인권 보호, 가난한 나라의 개발, 기후변화 대처, 양성평등을 위해서 지난 10년간 노력했다”고 소개하는 동시에 “전쟁의 참화를 통해서 우리의 안보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느꼈고 또 이런 것이 국민의 삶에 얼마나 중요한가를 몸소 터득했다”고 말했다. 진보와 보수를 두루 아우르는 주제를 배분한 점이 눈에 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를 둘러싼 국제정세는 우리의 안보, 경제, 통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북핵 문제를 비롯해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해서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국제기구 수장과 외교관 출신으로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역대 최악의 유엔 사무총장’, ‘무능했던 사무총장’이라는 일각의 비판에도 정면으로 대응했다. 반 전 총장은 “그간 편파적인 이익을 앞세워서 일부 인사들이 보여준 태도는 유엔과 제 가슴에 큰 상처를 안겨줬다”며 “어려운 시기에 헌신하고자 하는 저의 진정성과 명예, 또 유엔의 이상까지 짓밟는 이런 행태는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저는 지난 10년간 세계 방방곡곡을 다니면서 가난하고 병들고 악재에 시달리는 수많은 사람의 인권과 존엄을 보호하면서 약자를 대변하고 그들의 목소리가 되기 위해서 노력을 했다”고 덧붙였다. ■ 현 정부와 차별화…‘사회통합’으로 중도층 공략
반 전 총장은 이날 ‘박근혜 대통령’을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광장’과 ‘촛불’을 높이 평가하며 현 정권과 차별화를 시도했다. 그는 “역사는 2016년을 기억할 것이다. 광장의 민심이 만들어낸 기적, 좋은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 하나가 되었던 좋은 국민을 기억할 것”이라며 “광장에서 표출된 국민의 여망을 결코 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실정으로 촉발된 ‘촛불집회’에 각별한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그러면서 “(유엔에 있는 동안) 지도자의 실패가 민생을 파탄으로 몰고 가는 것을 제가 손수 보고 느꼈다”는 뼈있는 말을 던지기도 했다. 반 전 총장이 향후 실현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사회통합’을 꼽은 점도 지지층을 확장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그는 “나라는 갈가리 찢어지고, 경제는 활력을 잃고, 사회는 부조리와 부정으로 얼룩져 있다. 젊은이의 꿈은 꺾이고 폐습과 불의는 일상처럼 우리 곁에 버티고 있다”면서 현 상황을 “총체적 난관”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민생이 흔들리는 발전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부의 양극화, 이념·지역·세대 간 갈등을 끝내야 한다”고 정치에 뛰어드는 포부를 밝혔다. 반 전 총장이 지지층 결집을 위해 “나는 권력의지가 확실하다”는 귀국 일성을 던진 점도 눈에 띈다. 자신이 귀국한 뒤 국내 정세와 정치 상황을 지켜보다가 출마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일부의 관측을 반박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많은 분이 저에게 권력의지가 있느냐, 이렇게 물어봤다”며 “분열된 나라를 하나로 묶어서 세계 일류 국가로 만드는 데 노력을 하는 그런 의지라면, 저는 분명히 제 한 몸 불사를 각오가 돼 있다고 말씀을 드렸고 그 마음엔 변함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남을 헐뜯고 무슨 수단을 써서라도 정권을 쟁취하겠다, 권력을 쟁취하겠다는 권력의지라면 저는 의지가 없다”며 다른 대선 주자들을 에둘러 견제하기도 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관련 영상] <한겨레TV> | 더 정치 31회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